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CG용어
2010.04.20 18:13

720*486과 720*480의 차이

조회 수 2870 추천 수 7 댓글 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갑자기 궁금해 져서요...

720*486과 720*480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 ?
    에드워드 2010.04.20 21:29
    486이 D1이고 480이 DV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브라운관은 세로줄이 486줄인데 DV는 당시 기술상의 이유로 480을 선택했다고... 둘 다 이제는 아날로그 시대의 이야기지요. 작업물 넘길때 기본 720p가 된 세상이니;;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4.21 08:36
    DV가 아날로그 시대 이야기는 아니저..
    SD 디지털 포맷인데용..

    아날로그 시대라면 Hi-8, S-비디오, 베타 머 이런거저..  ^^
  • ?
    딸기맛하늘 2010.04.20 22:10
    윗분이 말씀하신데로 D1과 DV의 포맷차이 입니다.
    D1은 디지베타고 DV는 6mm 인데, 세로줄의 6픽셀 차이보다 더 중요한 차이는
    D1은 upper field first 이고 DV는 lower field first 입니다.
    두 포맷을 섞어 쓰거나 포맷변환을 할때 문제가 발생하죠.
    최종 출력 포맷에 맞게 한쪽은 필드를 뒤집어야 화면상에서 떨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방송물에도 이 두차이를 잘못 사용해서 필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간혹 보이더군요.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4.21 03:28
    잘못 알고 계시네요.
    D1과 디지베타가 720-486인 것은 맞지만..    D1과 디지베타는 다른 거저..  ^^

    D1은 87년에 디지베타는 93년에 만들어집니다.   ^^
    D1은 논 압축이구요.  디지베타는 2대1 압축포맷입니다.  
    필드도 거의 모든 SD 인터레이스 비디오 포맷은 로어 필드가 퍼스트입니다.   ^^

    반대로 거의 모든 HD 인터레이스 비디오는 어퍼 필드가 퍼스트 필드입니다.  ^^
  • ?
    철학자램 2010.05.12 09:19
    필드를 뒤집는다는 말씀에 질문 드립니다.
    만약 A와 B를 최종 포맷이 로어일때,
    A는 어퍼로 작성되었고, B는 로어로 작성되었을 때, 
    A를 B와 같은 로어로 수정 후 최종출력한다는 건가요?

    제 경우 겉핥기로 배운 지식이라 A가 어퍼일때 로어로 뒤집으면 스캔라인이 로어와 어퍼 두개에 존재하므로
    화상이 손상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 손상을 감수하고 최종 출력물을 맞추는 게 옳은 방법인지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 )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5.12 22:50
    진정한 필드 렌더러...  (예를들면 애플 모션 같은) 경우에..

    무비의 정보만 정확하게 입력되었다면
    문제 될 것이 없습니다.
    필드 렌더링을 할 때 알아서 필드를 정리해줍니다.

    애펙이나 단순한 일반 컷 편집 툴에선 신경을 써야합니다.
    예를들면 어퍼 필드로 된 무비와 로어 필드로 된 무비가 있을 때..  
    출력이 로어일 경우에..
    로어필드 무비를 우선으로 정렬하시구요.
    어퍼필드 무비는 세로선을 홀수로 정렬 하셔야합니다.   
    로어필드 무비 위치가 (0,0)이라면..
    어퍼 필드 무비는 (0,1)에 맞추셔야하구여..
    부득이하게..  (0,2)등 짝수로 맞추었을 경우는 필드 쉬프트 필터를 사용해서 필드를 바꾸어줍니다.

    화질은 손상되지 않습니다.
    필드를 순서만 바꿔주는 역할만 합니다.

    보통 편집자들이 간과하는게 무비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 하는 겁니다.
    편집할 때 무비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 바로 타임라인에 얹어서 작업합니다.
    보통 기본 무비 정보도 틀리는 경우가 드뭅니다만..    특별한 경우가 항상 있구요.
    HD 프로젝트를 작업하다가 그 필드 세팅 그대로 SD 작업을 한더던가하는 실수를 범합니다.

    또한가지는 자신이 쓰는 프로그램의 능력을 모른다는겁니다.
    자신이 가진 툴이 진정한 필드렌더러인지 아닌지 잘 모른다는 거저..
    이런점에서 애펙을 신뢰하고 있는 분들이 굉장히 많은데 잘못된 상식이저. ^^

    스케일링이 문제인데..  이때는 어느정도 필드 문제는 무시하시고 
    화질 손상이 온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
    필드 렌더러들은 스케일을 할 때 디인터레이스 과정을 거치고 다시 인터레이스로 필드 렌더링을 합니다.

    대부분의 컷 편집툴은 진정한 의미의 필드렌더러가 아닙니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5.12 22:54
    한가지만 더...
    HD 인터레이스 촬영이 대부분 어퍼필드구요.

    SD에서 어퍼 필드를 찾는다면..
    640-480으로 촬영되는 컨슈머용 캠코더들입니다.
    그 외에는 일부러 어퍼필드로 렌더링 하기 전까지..  프로용 포맷에선 SD 어퍼필드가 없습니다.
  • ?
    철학자램 2010.06.10 10:06
    한달이나 되어서야 답글을 확인했네요 ㅎㅎ;

    학생입장에서 사용하는 툴이 프리미어와 에펙인지라
    촬영물, 특히 00년정도 촬영된 소스들을 받아서 출력했을 떄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ㅎ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4.21 01:53
    NTSC 규격의 픽셀 비가 가로세로가...  0.9 입니다.

    세로가 조금 더 길다는 거저..
    계산을 해보면..     화면이 4대3비율을 유지한다고 하면  720에선..  486 정도로 떨어져요.    ^^

    원래 제작 표준은 720-486입니다.   우리한테는 D1 규격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디지털 방송, DVD 등을 하게 되면..
    압축을 사용해야 하는데요.

    문제는 그냥 한픽셀한픽셀 압축을 하는 것이 아니고..
    픽셀을 모아서 연산을 하게 되는데..
    16x16 블럭으로 압축을 한다는 겁니다.

    486은 16으로 나누어지는 수가 아니라 것이 문제가 됩니다.
    그래서 480으로 디지털 시대 SD 표준으로 정해지게 됩니다.

    DVD나 DV 포맷이나..  DVCPro  같은 SD급 디지털 포맷은 거의 720-480입니다.
    그보다 오래된 표준인 D1, D5, 디지베타 같은 것이.. 720-486을 사용합니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4.21 03:02
    그리고 한마디 더하자면..

    TV 는 오버 스캔을 합니다.    
    방송 송출 신호를 다 표시 하지 않고..      외곽 부분은 잘려서 보이지 않는다는 거저..
    얼마만큼 잘리느냐는  TV 수상기 마다 다르구요.
    AS 하시는 아저씨들이 들고 다니는 리모컨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세이프티 가이드 같은 것이 영상 작업 툴에 있는거구요.

    외곽이 잘려나가기 때문에.
    720-480이나 720-486이나 방송 송출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는 480i 촬영물과 486i 촬영물을 섞어서 사용할 때..
    필드 오더에 주의해야 한다는 거저..
    위키에 제가 쓴 인터레이스 이야기에 이 문제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
  • ?
    찌질이 2010.04.21 09:24
    성의 있는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답변을 이해 하는것도 시간이 걸리네요..ㅋㅋ
  • ?
    빛날광 2010.04.26 14:48
    저도 공부하고 가네요~ 감사합니다.
  • ?
    구내식당 2010.04.29 11:10
    초반엔 자신있게 읽었는데....
    후반가니 이해가 ㅜㅜ
    종종 읽으면서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the lonely island 저도 참 좋아합니다.
  • ?
    해밀 2010.05.06 09:47
    저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 ?
    오달 2010.05.06 13:42
    항상 궁금하고 어려웠던 영상 포멧... -_- 들어도 까먹는...
    30frame과 29.97...
    드롭과 넌 드롭... 등등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5.12 20:52
    드롭 프레임과 논 드롭 프레임은 타임코드의 차이를 이야기 하는건데요.
    드롭 프레임 타임코드는 오로지 NTSC 타임코드만 그렇습니다.
    말의 뜻 자체는 타임코드 상에 없어지는, 즉 드롭 되는 프레임이 있다는 겁니다.
  • ?
    찐파워 2010.05.06 17:24
    CS4는 에펙이나 프리미어로 넘어갈때 각각 프로젝트 사이즈가
     D1, DV 냐에 따라 화질차이가 생기던데..
    혀기님 설명을 들으니 이해가 되네요.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5.12 20:48
    D1은 무압축이라고 이야기 드렸습니다.
     DV는 거의 10대1 압축입니다.
  • ?
    초짜재영 2010.05.07 13:42
    댓글을 보면 볼수록 더 미궁속에..ㅎㅎ

    아무튼 전 D1을 쓰는..;;
  • ?
    철학자램 2010.05.12 09:10
    그래서 저는 인코딩이 아닌 최초 출력물은
    무조건 스퀘어 픽셀에 30f 프로그레시브를 고수하고 있습니다-ㅅ-;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5.12 20:47
    프로그레시브는 잘 생각하시는 겁니다.
    하지만여.. 사운드싱크 때문에..  29.97을 사용하셔야 할 경우도 많습니다...
    뮤직비디오라던지,,,
    드라마 등에서 사용된다던지 하면요.
  • ?
    철학자램 2010.05.19 19:05
    아하,
    그러고보니 그동안 싱크를 맞출 때
    프레임드롭은 고려하질 않았었군요-ㅅ-;
  • profile
    창쓰 2010.05.25 19:56
    저도 이 글 하나에 엄청나게 배워가네요~! 감사합니다~! ^^ 
  • ?
    띠로리 2010.05.27 02:16
    왜 읽어도 무슨 소린지 모를까요?? 다시 정독해야 겠어요..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5.28 08:58
    한가지 더 추가 하자면...

    720-480무비와 720-486 무비를 섞어서 사용할 때..
    두 무비를 맞추기 위해서 스케일을 사용하면 안됩니다.
    두가지다 픽셀 어스펙티드 레이쇼는 같기 때문에...
    그냥 사용하면 되는 거저..
  • ?
    달인 2010.06.01 01:52
    upper와 low 개념을 여기서 이해하게 될 줄이야
    예전에 넌리니어 편집 하면서 셋팅 설정 중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요
     이 글을 통해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D1과 DV의 차이점도요
    넌 리니어 편집만 7년 가까이 하는데 영상이나 3D나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모르는 것이 더 많아지니...
    지금은 3D 입체영상 구현 편집 공부로 바쁜데, 머리긴혀기님 글에 감사드립니다.  
  • ?
    바우디 2010.06.04 09:31
    다들 무슨 얘기하는지 하나도 모르겠다.ㅠㅠ 왠지 영상쪽에 있는 사람들은...
    전부 저렇게 아는게 많은걸까.ㅠㅠ 나 머리 나쁘니까 열심히 공부해야겠네.ㅠㅠ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6.04 20:16
    용어 공부를 하셔야겠네요.  ^^
  • ?
    쥐돌이 2010.06.10 19:37
    단순한 픽셀차이가 아니었군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 ?
    유재남 2010.06.15 14:57
    혀기님.. 강의 한번 하셔야겠습니다. ... ^^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6.15 19:27
    쩝..    ^^
  • ?
    깜냥 2010.06.25 12:08
    답글보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profile
    보배 2010.07.05 17:43
    영상쪽에 있다고 가오잡다가...여기 와서 댓글 보니깐 거의 살벌하게 해박하시다는...오오..

    그동안 영상쪽에 있었던 사실이 그저 부끄러울따름입니다..

    흑... 회초리로 저좀 때려주세요!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07.09 08:30
    회초리 꺽어오셈.  ^^
  • ?
    윤홍 2010.07.30 21:32
    용어들로 겉으로만 알겠다는...ㅡㅡ;어렵군요. 아무튼 좋은 지식 배우고 갑니다..
  • profile
    가치 2010.08.05 16:2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전수진 2010.09.28 00:43
    16전쯤인가 3DS에서 필드 렌더링돼는거 보고 버그인줄 알았습니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10.04 01:53
    ㅋㅋㅋㅋ  이런 기술 용어 설명들은 사실 대부분 알면 아무것도 아닌 것들인데 모르면 정말 바보되는 것들이저.   ^^
  • ?
    라잇업 2010.11.10 19:24
    와 대단하십니다. 컷 편집을 할때 FCP를 사용하는데 여태 동영상 정보 확인 없이 그냥 사용 했습니다. 스틸 잡을때만 떨림현상 때문에 인터레이스 필터 주고 로어로 설정했었는데.... sd는 로어 hd는 어퍼로 사용해야 하는 것인가요? 아웅 개념이 없네요 ㅜㅜ  앞으로 컷편집시 도영상 정보 확인해 봐야겠어요.. 흑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11.13 21:04
    이 댓글을 읽은지 오래되는데...  질문 스럽지 않아서 댓글을 달지 않았습니다.

    시퀀스 세팅이 SD는 로어, HD는 어퍼입니다.  방송용만 그렇구요.
    영화라면 당근 24p 쓰셔야저.   ^^
  • profile
    머리긴혀기 2010.11.13 21:37
    시퀀스 세팅도 맞았는데....
    플리커링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는 보통 두가지 인데요.

    1.  사용한 클립과 필드가 맞지 않아서..  -  보통 카메라를 팬닝으로 촬영했을 때 두드러지게 보이게됩니다.
    이경우는 필드쉬프트 필터를 쓰면 해결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 인터레이스 필터를 사용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베리어블 프레임 레이츠 등으로 속도를 늦추었을 때 껌벅임이 심해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조명이 껌벅거리는 거예요.  ^^
    일반적인 조명은 전기 주파수에 맞추어서 빠른속도로 빤짝거리고 있는데..
    그게 너무 빨라서 눈치를 채지못합니다만
    촬영물의 속도를 늦추어보거나 슬로우 촬영을 하면 티가 나게됩니다.

    플럭인등으로 완화시키는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구요.  
    촬영 현장에서 해결하셔야합니다.
    경험이 많은 연출자나 촬영기사는 경험으로 껌벅이게 된다는 것을 압니다.
    편집에서 재생 속도를 늦추는 것은 연출자나 편집자만 아는 것이기 때문에..
    연출자가 잘 파악하고 문제의 편집부분 촬영시에 촬영 스텝, 조명 스텝과 의논해야합니다.
  • ?
    호루라기 2010.12.08 14:01
    많이 배우고 갑니다^^
  • ?
    송알 2010.12.11 19:14
    연출자가 미리 문제를스텝들과 상의해야 한다는것...
    모든 작업이 유기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알아야 할것들이 많네요.
  • ?
    라즈 2011.01.23 21:12
    많은걸 배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
    나다야 2011.02.01 16:43
    아 아무생각없이 쓰던 제가 부끄러워지는군요
  • ?
    림림림 2011.02.27 09:55
    정말 대단하군요. 감사합니다.!!
  • ?
    철피디 2011.03.06 20:58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짤쯔 2011.03.12 01:49
    저도 잘읽었습니다..감사합니다.
  • ?
    죠이 2011.03.22 06:07
    정독해야할 만한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 ?
    워터라인 2011.03.29 11:12
    휴 전 이런내용 공책에 적습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