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복사 | 조회 수 402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d로 인트로 영상을 만들어보는중인데요 만들고나면 아무래도 용량이 많이 클꺼같거든요한..25초짜린데

크기는 한 400에 450정도인데 홈페이지에 올릴려면 용량이 어느정도되야 적당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용량이 적으면서 화질의 손상이 별로없이 괜찮게 나오는 방법이없을까 궁금합니다.웹용으로 말이죠..ㅜㅜ



  • ?
    bbne 2008.12.04 12:43
    가로 해상도가 400~450이라는 말슴이시죠?
    사실 웹용이라는게 용량이 적으면서 화질은 좋게라는 범용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면 됩니다.
    요즘 영상은 기본적으로 MPEG-4의 기술은 기반으로 사용하는데요.
    H.264 = MPEG4 Part.10 기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DIVX = MPEG4 Part.2 라고 알고 있습니다.)

    일단 MOV 컨테이너 코덱으로 하신다면 H.264로 하시는게 가장 현명합니다.
    예전에는 소렌슨코덱도 많이 사용했는데요 효율성면에서는 H.264가 가장 좋습니다.
    WMV로 하신다면 WMV9이상의 코덱을 사용하시구요.
    VC-1은 미디어플레이어11이상에서만 지원하기에 간간히 안보인다는 유저가 있을겁니다.
    플래쉬로 하시려면 On2VP6코덱을 사용하세요. 플래쉬 CS4부터는 H.264도 지원합니다만
    아직까지는 사용하는 곳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 가로 해상도가 400~450이라면 초당 비트레이트가 384Kbps이상이라면 적당한 화질을 보여줄겁니다.
    768Kbps이상이라면 괜찮은 화질을 보여줄거라고 생각이 드네요.
    영상의 용량보다는 서버의 전반적인 환경을 생각하셔서 영상을 만드셔야 합니다.
    근데 사실 용량과 초당비트레이트는 거의 비례관계이므로 일단 편하게 같게 생각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인터넷회선이 전반적으로 DSL급 이상이므로 제 경험상 768Kbps도 큰 무리없이 스트리밍은 가능했습니다만
    동시접속자도 생각하셔야 합니다. 동시접속자가 없다면 1Mbps이상도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는 화질이 정말 중요하다면 768Kbps정도급으로 인코딩하시구요.
    화질과 용량 두부분을 고르게 생각하신다면 512Kbps정도로
    그리고 용량을 줄이고 싶으면 384~그 이하로 인코딩하신뒤에 테스트 하시면 되겠습니다.

    참 인코딩하실때는 CBR-2pass이상을 사용하세요.
    CBR은 고정비트레이트이구요, VBR은 가변비트레이트입니다.
    한 마디로 CBR은 모든 영상에 고정적인 비트레이트로 계산되어지는 방식이구요
    VBR은 영상은 분석하여 검은화면이나 정지화면은 비트레이트를 조금 빠른 동작의 화면은 비트레이트를 많이 주는 방식입니다.
    VBR-2Pass라면 괜찮으실겁니다^^;
  • ?
    푸헐헐 2008.12.04 12:54
    어이쿠 감사합니다^^ 모르는것들이 많아서  어렵군요

    그리구 크기가 400픽셀에 450픽셀이라는건데 그말이그말인가요 ?
  • ?
    bbne 2008.12.04 13:49
    아 가로가 400이고 세로가 450이라는건가요? 일반적으로 HD영상은 세로의 해상도에 맞춰서 부르고
    아니면 하나의 사이즈만으로 이야기할때는 비율로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요.
    제가 위에서 말했던 내용은 일반적인 내용만으로 이야기 했습니다.
    가로가 400이고 세로가 450이라면 처음부터 이렇게 작업한 파일이겠군요^^;
    (촬영장비로 촬영했다면 이런 규격이 없을테니까요~)

    가로가 400이고 세로가 450이라면 512정도의 비트레이트가 일반적일거 같아요.
    화질이 별로다 싶으시면 조금씩 올려서 확인해보세요.
    영상의 길이가 긴경우는 인점과 아웃점을 잡아 특정구역만 인코딩하시면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플래쉬로 인코딩하신다면 어도비미디어엔코더가 가장 무난하구요.
    MOV라면 거의 대부분의 툴에서 H.264인코딩을 지원합니다.
    퀵타임을 프로버젼으로 업그레이드하세요^^;
    WMV도 대부분 지원하는데 혹 인코딩툴이 없으시다면 MS에서 미디어인코더 익스프레션을 다운받으시면
    60일동안 제한없이 사용가능하십니다~
  • ?
    BB[90020] 2008.12.04 14:09
    H.264이래저래 원츄죠~ 고화질 저용량! ㅎㅎ
  • profile
    ㅋㅏㅊㅣ 2008.12.04 18:29
    어짜피 영상은 플래시로 아웃풋을 주로하기때문에 flv로 뽑는게 쵝오입니다. ^^
    벌써 영상 만드셨나요? ㅎㄷㄷ ;
  • ?
    푸헐헐 2008.12.05 08:46
    ㅋ_ㅋ 아직 제작중이랍니다 마무리단계..답변들감사합니다^^
  • ?
    bakcon 2008.12.09 02:10
    오 그렇군요 유요한정보네요 인코딩 할때 참고해냐겟네요

질문과 답변

question and answe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일반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그래바 2020.09.03 19539
공지 Octane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file 이효원 2020.04.19 50295
공지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file 권오훈 2019.06.27 14099
공지 일반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권오훈 2019.06.27 6066
8747 애니메이션 캐릭터빌더로 바인딩시 조인트 틀어짐 현상. 1 눈물조각 2013.09.14 398
8746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되는 세그먼트나 폴리곤에 다른 오브젝트 붙이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2 file 간다 2016.03.03 398
8745 텍스쳐 모텍스트에 재질 입히기.. 2 요미 2013.12.14 398
8744 기타 누크로 필드 있는 영상물 작업하기.. 너머야 2013.10.14 398
8743 시뮬레이션 클론된 결과물을 그대로 오브젝트로 뽑아내고 싶습니다. 2 서득수 2014.10.24 398
8742 라이팅 정말 머리터질것같아요 도와주세요ㅠ 2 file 크레파스 2017.07.16 398
8741 윈도우에서 작합한 결과물을 맥에서 프로레스 422로 뽑으려고 합니다. 2 색채가없는 2017.11.03 398
8740 기타 nuke 혹은 flame 둘중 무얼 먼저 공부해보는게 좋을까요? 1 루디 2018.12.23 398
8739 일반 렌더러 유저 순위(?) 1 알아서 2019.11.25 398
8738 Octane 옥테인 프리뷰가 나오지 않습니다. 5 file 에누리 2020.08.08 398
8737 Octane 그림자 투명도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4 후리타타 2020.08.06 398
8736 기타 옥테인 컴퓨터 사양 문의 4 file 전제욱 2020.12.20 398
8735 Octane 검정 배경에 유리재질 렌더세팅 1 아자아자파이팅 2021.09.09 398
8734 Redshift 렌더링 이미지 상 반짝거리는 노이즈(artifacts)가 생기는 이유가 있을까요? file 후리타타 2022.03.19 398
8733 MoGraph 꽃모양이나 이렇게 변형되는 모그라프 관련 강좌는 없나요. 1 엘리엇 2009.06.04 3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91 1192 1193 1194 1195 1196 1197 1198 1199 1200 ... 1779 Next
/ 1779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