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레드시프트 디노이저 성능이 안좋다는건 알고있었지만, 한번 테스트용으로 뽑아보니
그래디언트의 은은한 부분이 층지는 현상이랑 곡면이 계단지는 테셀레이션이 도드라지더라구요
혹 제가 디노이저를 잘 못쓰고 있는건지, 아님 어쩔수없는 기술적 한계인지 궁금해 질문글 올립니다
2K 이미지, 오토매틱샘플링 0.002
디노이저는 OptiX, 버킷사이즈 10, 프로그레시브 100 이었습니다!
채택포인트 | 100 |
---|
원래 레드시프트 디노이저 성능이 안좋다는건 알고있었지만, 한번 테스트용으로 뽑아보니
그래디언트의 은은한 부분이 층지는 현상이랑 곡면이 계단지는 테셀레이션이 도드라지더라구요
혹 제가 디노이저를 잘 못쓰고 있는건지, 아님 어쩔수없는 기술적 한계인지 궁금해 질문글 올립니다
2K 이미지, 오토매틱샘플링 0.002
디노이저는 OptiX, 버킷사이즈 10, 프로그레시브 100 이었습니다!
사용자 경험에 따라 좀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체로
디테일이 중요한 컷의 렌더링은 디노이저는 안 쓰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