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MwKjuD-PcvE?si=WzSl2nsLTfiBIFFw
파티클로 액체의 흐름을 제작했는데 처음 시작부분이랑 같은 두께로 흐름이 이어졌으면 좋겠는데 점점 넓어지더라구요 이부분은 어떻게 잡을 수 있을까요? 참고한 강의 첨부합니다.
https://youtu.be/MwKjuD-PcvE?si=WzSl2nsLTfiBIFFw
파티클로 액체의 흐름을 제작했는데 처음 시작부분이랑 같은 두께로 흐름이 이어졌으면 좋겠는데 점점 넓어지더라구요 이부분은 어떻게 잡을 수 있을까요? 참고한 강의 첨부합니다.
김성연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일반 |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 그래바 | 2020.09.03 | 235850 |
공지 | Octane |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 |
이효원 | 2020.04.19 | 264533 |
공지 |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 |
권오훈 | 2019.06.27 | 215122 | |
공지 | 일반 |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 권오훈 | 2019.06.27 | 213547 |
28325 | 일반 |
100
완료
레드시프트 계단현상 및 층지는 현상 이유가 뭘까요?
2 ![]() |
ki3d | 2025.10.02 | 7 |
28324 | 텍스쳐 |
특정 부분만 안 보이게 하는 법
![]() ![]() |
경 | 2025.10.02 | 16 |
28323 | 텍스쳐 |
모델링 구매 후 텍스처링과 라이팅 방법을 모르겠습니다.(R18)
1 ![]() |
기뮨 | 2025.10.02 | 22 |
28322 | 텍스쳐 |
카드 재질 구현 관련 질문드립니다!
2 ![]() |
뒤죽박죽피카소 | 2025.10.01 | 117 |
28321 | Plugin & Script |
옥테인 설치 관련 질문이요
1 ![]() |
너우 | 2025.10.01 | 23 |
28320 | 일반 |
옥테인 Pyro 질문드립니다
1 ![]() |
미나모 | 2025.09.30 | 38 |
28319 | 프로그램 | 100 완료 시포디에서 작업한 모델링 Solidworks로 저장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 | 시포디노예 | 2025.09.30 | 37 |
28318 | 일반 | 100 완료 조탁 5080 두장 꽂기 불가능한가요? 2 | ki3d | 2025.09.30 | 51 |
28317 | 텍스쳐 |
기본 큐브에 디스플레이스먼트 텍스쳐를 적용했을때 모서리 깨짐 현상이 생깁니다
1 ![]() ![]() |
아게네코 | 2025.09.30 | 34 |
28316 | 프로그램 |
학생 라이센스 처음 신청했는데 가격이 이게 맞나요?
4 ![]() |
너우 | 2025.09.29 | 118 |
28315 | PC조립 |
100
완료
데스크탑 맞추려고 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5 ![]() |
유후률류 | 2025.09.29 | 52 |
» | 파티클 |
파티클로 제작한 액체
3 ![]() |
뭉 | 2025.09.28 | 69 |
28313 | 변환 & 연동 |
Alembic 애니메이션 유지하면서 KeyShot에서 재질 분리하는 방법?
3 ![]() |
외않대 | 2025.09.28 | 34 |
28312 | 애니메이션 | 20 퍼스펙티브 창(프리뷰창)에서 영상 보는 법 2 | 이아이 | 2025.09.27 | 27 |
28311 | 시뮬레이션 |
10
완료
리지드 바디 캐시하는 방법
2 ![]() |
틸킴 | 2025.09.26 | 117 |
참고 하고 있는 영상은 질문자가 원하는 목적에 맞는 영상이 아닙니다. (Liquid 또한 없는 구버젼에서 작성)

C4D의 FP Particle 및 Liquid에는 질문자가 원하는 Realflow의 Sheeter나 Macro 같은 "후 가공" 기능이 없습니다.
따라서 파티클 이미터가 생성될때 적절한 생성 수, 너무 빠르지 않은 속도, 과도하지 않은 외력(Turbulence같은) 등으로 파티클이 최대한 분산되지 않게 균형을 잡아야 합니다.
참조한 영상도 좋지만 최신의 Liquid기능 및 Follow Spline이 복합으로 사용된 다른 참조 영상을 찾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측 : 상대적으로 많은 방출량, 최대한 외력을 억제한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