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er 사용해서 처음 랜더링하는데 무거운건 알고있지만 도를 넘은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아래 이미지 랜더하는데 크기는 1920*1080 샘플링128인데도 불과하고 15분이 넘는 시간이 걸려 정상인지 궁금합니다.
사용하는 컴퓨터는 게이밍노트북이지만 그래픽 3070ti랩탑용 램은32g입니다.
1024급으로는 랜더를 해야하는데 엄두가 안나서요..해결방법이 있을까요 고수님들 도와주십쇼
첨부 '1' |
---|
forester 사용해서 처음 랜더링하는데 무거운건 알고있지만 도를 넘은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아래 이미지 랜더하는데 크기는 1920*1080 샘플링128인데도 불과하고 15분이 넘는 시간이 걸려 정상인지 궁금합니다.
사용하는 컴퓨터는 게이밍노트북이지만 그래픽 3070ti랩탑용 램은32g입니다.
1024급으로는 랜더를 해야하는데 엄두가 안나서요..해결방법이 있을까요 고수님들 도와주십쇼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일반 |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 그래바 | 2020.09.03 | 46480 |
공지 | Octane |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 |
이효원 | 2020.04.19 | 75486 |
공지 |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 |
권오훈 | 2019.06.27 | 34365 | |
공지 | 일반 |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 권오훈 | 2019.06.27 | 28567 |
2962 | PC조립 | 완료 2way 관련 ] 3080ti + 3090 의 vram 3 | 히윳히윳 | 2023.10.19 | 216 |
2961 | 일반 | 완료 혹시 다들 스토리보드는 어떻게 그리시나요? 2 | 갱슬 | 2023.10.19 | 370 |
2960 | Octane |
옥테인 라이브뷰어 창 띄워놓고 작업할때 문제
2 ![]() |
징니임 | 2023.10.19 | 386 |
2959 | 일반 |
옥테인렌더 구입하려는데 이게얼마일까요
1 ![]() |
토네이도 | 2023.10.19 | 281 |
2958 | 일반 |
이렇게 만들려면 어떤 기능들을 사용해야할까요ㅠㅠ
3 ![]() |
두두둥장 | 2023.10.20 | 348 |
2957 | 모델링 |
썹디비젼 먹였을 때 면선택
2 ![]() |
징니임 | 2023.10.20 | 141 |
2956 | 애니메이션 |
1
믹사모에서 리깅후 모션 데이터를 불러오고 손키로 애니메이션을 수정하는 방법이있을까요?
1 ![]() |
시포디몬스터 | 2023.10.20 | 662 |
2955 | 일반 |
리얼플로우를 사용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을까요?
2 ![]() |
레무린 | 2023.10.20 | 298 |
» | Octane |
옥테인 랜더링 시간관련 도움주실분ㅠㅠ
2 ![]() |
붕구 | 2023.10.20 | 472 |
2953 | Octane |
완료
옥테인 렌더링 했는데 뿌옇게 나옵니다 ㅠ
2 ![]() |
호구민 | 2023.10.20 | 1191 |
2952 | 모델링 |
완료
물결곡면 유리를 만들고싶은데요..
2 ![]() |
미니미니미니미 | 2023.10.20 | 267 |
2951 | 애니메이션 | 완료 contraint 태그? 2 | 규리 | 2023.10.20 | 98 |
2950 | 일반 | ssd추가후 시포디 느려짐+렌더속소 저하 1 | 하늘먼지 | 2023.10.21 | 199 |
2949 | Redshift |
완료
[redshift] 재질 표현이 궁금합니다.
2 ![]() |
농선방 | 2023.10.21 | 336 |
2948 | 일반 |
50
시포디 이미지 jpg 저장하면 깨져요...ㅠ
4 ![]() |
씬디 | 2023.10.21 | 287 |
1. 먼저 Forester 제너레이터 오브젝트 깨서(Make Editable) 사용하십시오. (제너레이터 계열은 매 프레임 오젝트를 재생성하므로 매우 무겁습니다.)
2. Wind를 사용하고 있는 Forester 제너레이터 오브젝트는 Alembic으로 베이크해 사용하십시오. (알렘빅으로 하는 경우 파일이 매우 거대해지지만 렌더측면에서는 오히려 빨라집니다.)
3. 같은 종류의 나무인 경우 Render Instance로 복제해 배치하거나 또는 Octane Scatter로 뿌려 보십시오. 이 경우에도 1 또는 2와 같은 과정을 거친 소스를 사용하시오.
4. 그림과 같은 씬에서는 Path Tracer는 품질에 크게 영향이 없을 것이므로 Direct Lighting처럼 계산이 빠른 커널로 바꿔 보세요.
5. 씬이 큰 경우 HDRI이미지에 의한 라이팅은 피하고 DayLight오브젝트를 이용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