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이번에 일하는 곳에서 PC 게임 캡쳐 영상 장비 구입을 할려는데 맥이 좋은지 윈도우가 좋은지 자세히 설명해주실분이 필요해서 이렇게 씨네마 유저분들한테 조언을 들을려고 글을 적어봅니다

 

일단 주로 하는 작업이 PC게임 플레이 영상을 HD급 영상을 캡쳐해서 영상 편집 작업 하는 거고요

제가 생각한 필요한 물품 적어봤는데 호환성 문제점이 걸려서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 윈도우 기반≫

CPU :인텔 코어2 쿼드 켄츠필드 Q6700
CD-ROM : 소프트웨어 설치에 필요
RAM : 4GB (4GB이상 추천)
HDD : 300G/10,000RPM/SCSI + 500G SATA2
VGA : NVIDIA 8800(GT or GTS) *2
메인보드,케이스,파워 추천 부탁드립니다.

≪ 모니터(HD) ≫

응답속도 : 6MS 이하
명암비 : 1000:1 이상
크기 : 24 inch
해상도 : 1920*1200이상
밝기 : 500cd 이상
무결점

 

그리고 맥프로 입니다.

저는 개인 적으로 맥프로를 지름신을 하고 싶은데 뭐가 좋은지에 대해 잘 몰라서 이렇게 요청을 합니다

 

 

 

 

 

Who's 정배

?
이렇게 좋은 프로그램을 이제야 찿은것 같네요 잘부탁드립니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일단
    HD 아날로그 영상이던지 디지털 영상이던지..
    외부에서 캡쳐하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이걸 먼저 알아보세요... ^^;;;

    HD 영상을 리얼타임으로 다루어갈려면..
    캐쉬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레이드 구성도 필요합니다.

    요즘 하드와 레이드를 위한 SATA 카드들이 엄청나게 쌉니다.
    예전 같았으면 1000만원이 들일 일인데... 요즘은 100만원 안쪽에 해결하실 수도 있습니다.
    SD는 그럴 필요는 없구요.
    (애플의 레이드 카드는 내부 하드디스크를 레이드로 구성하게 해는 데..
    추가적인 밧데리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비쌉니다. ^^
    꼬옥 이걸로 레이드를 구성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내부에는 저장용 캐쉬로 사용할 디스크는 외부에 두시는 것이 오히려 저렴합니다)

    캡쳐자체는 어디서 하던지 상관없지만 프로그램의 안정성이 문제인데..

    맥에서 사용하는 파컷을 사용하시는 것이.. 원할 합니다.

    애플 문서를 살펴보면.. 리얼타임으로 HD 파일을 다루어갈 때 최소한 4GB의 램이 필요합니다.
    이것도 참고하시구요...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HD 캡쳐나 익스포트를 위한 하드웨어는
    다 아시겠지만...

    http://www.blackmagic-design.com/
    http://www.aja.com/

    이 두회사의 거의 출혈경쟁이.. 이분야에 있어서 엄청난 가격 혁명을... ^^;;;
    불과 5년전 만 해도 10000달러 이하에서 불가능한 것들이었습니다. ^^;;;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아... 맥프로의 단점은.. 가격도 있지만..
    그래픽 카드의 선택이 좁다는 겁니다.
    하시는 일이 영상 편집이니까...

    현재로선.. ATI 라데온 X1900XT를 다시는 것이... 최선 같습니다.
    악세사리를 추가하면 바로 TV 아웃이 됩니다.
    (TV 아웃 기능은 캡쳐 장비에서도 가능하기때문에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
  • ?
    정배 2007.12.02 00:37
    머리긴혀기님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일반 pc로 게임을 플레이를 하고 맥프로로 캡쳐를 할수가 있다고 하는데
    혹시 이쪽에대해 들어 보신적 있으세요 ?
    그리고 또 한가지 캡쳐하고 편집하고 그다음 랜더링을 할때
    코덱을 어떤걸로 사용을 해야 HD급 화질이 나올수가 있는건가요 ?
    참고 사이트 : http://ruliweb.empas.com/data/pcnews/read.htm?page=1&num=8098&find=&ftext=&main=etc
    루리웹에서 찍은 플레이 영상은 잘나오던뎅
    저희 회사가 바라는 컨셉인뎅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일반 pc로 게임을 플레이를 하고 맥프로로 캡쳐를 할수가 있다고 하는데"

    이건 그렇지가 않습니다. 어떤PC도 컴퓨터나 마찬가지구요.

    맥프로는 1394가 기본적으로 달려있어서.. 이를 사용하는 캠코더나 데크로부터 바로 캡쳐하는 것이 가능합니다만...
    이건 1394 인터페이스 카드를 갖고있는 일반 PC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니터 신호 같은(DVI나 BNC 등의) 전혀 다른 규격의 신호는 이를 캡쳐 할 수 있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캡쳐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1. 게임을 하는(혹은 옵저버의) 컴퓨터의 그래픽 카드가 2대 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면..
    하나의 모니터는 게임하는 모니터에.. 또 하나는 캡쳐하는 장비에 연결합니다.
    (프리젠테이션할 때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입니다)


    2. 모니터 분배기(정확히는 신호 복사기) 같은 별도의 모니터 어댑터를 사용해서...
    한대는 게임 모니터에 나머지 하나는 캡쳐하는 장비에 연결합니다.

    물론 캡쳐 장비가 수용하는 연결형식이 가능한 변환 어댑터도 필요합니다.
    DVI > HDMI 라던가.. BNC > 컴포지트 혹은 컴포넌트 라던가...
    (이건 분배기나 캡쳐 장비 회사에 자세히 문의하세요 여기서 낭패 보는 수가.. ^^;;;)

    HD 급 화질을 수용하는 코덱은 온라인용으로는 두가지가 전부라고 생각되는데요...

    WMV-9 코덱... 보통 VC-1 이라고 부릅니다.
    MPEG4의 H.264 코덱

    보아야하는 미디어 플레이어가 윈미디어라면 WMV-9을 사용해야하구요..
    퀵타임이라던지... 곰이라던지도 상관 없다면... MPEG4의 H.264를 추천합니다.
    애플 사이트에서 고화질 트레일러들은 mpeg4에 h.264입니다.
    http://www.apple.com/trailers/
    (스킵의 문제라던지.. 라인이 좀 느릴 경우에.. 윈디미어는 최악입니다.. 쩝)

    (코덱도 코덱입니다만... 어느정도의 비트레이츠로 코딩하느냐에 따라서 화질이 좌우된다는 건 아시지요?
    가르쳐 주신 싸이트의 영상을 다운 받아서 어느정도의 비트레이츠로 코딩했는지 확인하세요)

    이 두가지가 전부다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리얼미디어도 가능은 합니다만.. 사용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편집은 저 두가지 코덱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리얼타임 중계의 경우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이건 스트리밍 서버와 리얼타임 코딩 장비가 필요합니다)

    편집에 맞는 코덱을 사용하고 편집이 끝난후에 필요한 코덱으로 전환합니다.
    편집에 맞는 코덱은 HD 영상이라면...
    DVC프로HD
    MPEG2, MPEG HD, XDCAM HD
    HDV
    애플 프로레스
    이 정도입니다.

    머... 컴퓨터는 별 문제가 아니고 영상캡쳐나 분배기 등의 문제가 더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
    컴퓨터는 보다는 소프트웨어에 더 촛점을 맞추시고..
    그 소프트웨어를 가장 원할히 돌릴 컴을 찾으세요.
    파이널 컷 프로를 쓰신다면.. 당근 맥프로로 가야하는 거저. ^^;;;;

    맥프로가 비싸지만.. 소프트웨어의 가격을 생각하면.. 비싸지 않습니다. ^^;;;

    혹시 맥을 구입하신다면.. 구입상 도와드릴 수 있는 것은 없지만..
    구입후에.. 자잘한 문제나 조언은 해드릴 수 있습니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모니터 카드의 2개의 출력을 이용해서 하나는 모니터에 하나는 캡쳐 장비에 연결하는 방식일 경우에...

    모니터와 캡쳐 장비로 들어가는 해상도가 같거나 비슷해야합니다.

    게임은 1280x1024로하고 캡쳐는 1080i로 하거나 할 수 없습니다.

    이게 모니터 미러링인데요...
    노트북으로 프리젠테이션 할 때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프로젝터 사양에 따라서 노트북 해상도를 조절해야저... ^^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아.. 한가지..

    파이널 컷 프로에서 작업하고 WMV-9으로 전환할 때는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

    소프트웨어 구매가 부담스러우시면 파일을 피씨로 옮겨서.. 피씨에서 코딩해야 하는 수도 있습니다...

    WMV-9을 이용하신다면... 일반 윈도우즈 피씨를 사용하시는 것이 정신 건강에 더 이롭습니다. ^^;;;;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이런 건 가능할 듯 하네요.

    그래픽 카드들이 HD 신호 출력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걸 HDCAM(머 이것이 아니더라도 HD 영상을 녹화할 수 있는) 데크... (즉 VTR 이저...)로 녹화하고..
    나중에 VTR에서 캡쳐하는 방법입니다.

    VTR만 제외하면 별도의 하드웨어는 들지 않겠습니다만..
    (보통 이런 데크들은 i-Link 라는 포트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게 1394 포트저..)

    프로사양의 HD 데크는 10000달러 이하에 없습니다.
    (맘에 드는 HD 데크는 몇만 달러 합니다..TT )
    HDV데크는 훨씬 저렴 한 게 있습니다.
    1시간 이상의 녹화에는 복수의 VTR이 필요하다던지..
    2대 이상의 VTR을 운영하기 위해서
    콘트롤러나 신호 체인저 같은게 더 필요 할 수도 있습니다.

    http://www.ygcam.co.kr/
    이런데서 알아보세요...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만약 데크를 구입하려 하신다면..
    1394가 달렸는지...
    캡쳐에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지 꼬옥 확인하세요...
    1394 안달리거나 옵션인 경우도 있습니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다른 이야기입니다만...

    그런데 HD 영상이란 것이...
    720p, 1080i 등인데요...

    720p는 1280x720의 프로그레시브 동영상을 말하는 거저...
    프레임 레이츠는 30, 50, 60 일 수 있고...
    하지만 보통은 30입니다.

    1080i는 1920x1080의 인터레이스 동영상이고..
    프레임 레이츠는 역시 30, 50, 60 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은 60입니다.

    저건 16대9 비율인데..
    일반 게임 모니터는 4대3이던가..
    16대9 더라도 메뉴 부분 때문에.. 비율이 약간 다릅니다.
    1920x1200 이런식입니다.

    이를 HD로 녹화하면..
    보통 방송에서는 화면이 꽈악 차야하기 때문에..
    가로를 맞춥니다.
    하지만 컴퓨터에서 본다면..
    세로를 맞춥니다.

    이것이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자유롭게 맞추어 질 수도 있고..
    의도와 달리 맞추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그리고 컴퓨터의 모니터 주파수 문제도 있습니다.

    보통 LCD 모니터는 60Hz 입니다.
    방송에서 다루는 표현으로 하자면 60p 인 셈입니다.
    1초에 60번 깜박이는데 인터레이스가 아니고 프로그레시브라는 거저...

    대형 모니터의 경우에.. 60Hz 이하 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모니터의 응답속도.. 이건 구라가 끼어 있는 수가 있습니다.
    테스트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가장 빠른 속도가 나오는 걸로 적어 놓는 수가 태반입니다. ^^;;;

    이 문제는 그리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모니터 속도가 어떻던...
    HD 녹화란 것은.. 이미 프레임 레이츠나 화면 크기등의 포맷이 정해져 있으니까..

    하지만
    "컴퓨터 화면에서 보는 것과 완전하게 똑같이 녹화되지는 않는다."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 거저...

    그리고 모니터 세팅이 너무 밝게 세팅되어있어서..
    (모니터 캘리브레이션을 일부러 하지 않았다면
    대부분의 컴퓨터 모니터는 너무 밝게 세팅되어있습니다)
    녹화하고 보면.. 컴퓨터 화면에 비해서 너무 어둡게 녹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전에 충분히... 녹화를 여러번 실시 해서 밝기 라던가..
    모니터와 녹화된 화면의 컬러 불일치 문제를 충분히 잡으세요..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게임 녹화와 편집이라... 나름대로 재미있는 일을 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일 하고 싶군여... 널널한 데.. 재미있는 일...

    모션쪽에 발을 들여 놓는 순간부터..
    피말리는 시간과 싸움에..
    매일 밤샘 작업에.. 쩝쩝...

    파컷 쓰면서 느끼는 거지만.. 파컷 쓰면
    컷편집이나 자막 작업등은 정말 널널해 집니다.
    작업하다 사고 안일으키지.. 리얼타임되지..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파컷 이외에.. 비슷한 패키지는..

    오토데스크나 아비드 같은데서 나오는 솔루션을 찾아야 하는데..
    하드웨어도 부담스럽고.. 소프트웨어도 장난 아님다.. 쩝쩝~~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그냥 피씨 쓰신다면..
    어쩔 수 없이..

    베가스나.. 프리미어, 아비드 익스프레스 같은 거 써야하는데...
    이게 HD에서는 장담할 수 없는 솔루션입니다. TT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HD라서 별 수 없이... 맥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ㅎㅎㅎㅎㅎ
  • profile
    전우열 2007.12.02 00:37
    헐... 혀기님은 역시...ㅎㅎㅎ 다방면이십니다..ㅡ.,ㅡ;ㅋㅋ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어... 오늘밤... 편의점 파는 다 어디가신 겁니까?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어제 토크앤토크에서 100점은 까먹었는데.. 도저히 회복이 안되는구만영.. 케케~~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요즘은 이게 제 주전공이저... 쩝쩝... 다방면하고는 별로 상관 없는 듯 합니당.. 쩝쩝...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가르쳐 주신 싸이트의 샘플 하나 다운 받아서 확인해보았습니다...

    1080i가 아니고... 720p입니다.
    그러니까 1280x720 싸이즈입니다.

    wmv9 코덱으로 되어있구요.
    데이터 레이츠는
    전체가 5698.76 kbits/s
    사운드가 116.20 kbits/s
    비디오가 5582.56 kbits/s
    이네요... 많은 참고가 될 듯 합니다.

    최소한 VDSL 을 사용해야 리얼타임 전송이 되는 군요. ^^;;;^^;;;

    제가 윗글에 포스팅한 퀵타임 트레일러 싸이트와 비교하면...
    사실 화질은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됩니다. ^^;;;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화면을 한프레임 단위로 움직여보니... 쩝쩝...

    규격상 프로그레시브 여야 하는데.. 사실 인터레이스로 캡쳐된 곳이 많습니다...
    여기서 퀵타임 무비 트레일러 싸이트와 화질 차이가 나는 거군요...

    720p여야 하는데... 인터레이스가 끼었다면...
    장비 세팅 미스 던가...
    720의 30i 라니... 사실 이건 HD 규격도 아니고... ^^;;;;

    편집을 하거나 코딩을 할 때.. 인터레이스로 했을 수도 있습니다.
    편집시에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 퍼포먼스 문제로 손실률이 높은 코덱을 쓰면 그렇게 됩니다.

    코딩을 할 때 인터레이스가 끼었다면 이건 무심코 하는 실수 입니다.
    한프레임 단위로 세워 보지 않으면 모르는데...
    WMV 특성상 한프레임 단위로 세워서 보기 어렵습니다. ^^;;;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잘 세팅해서 하시면...
    샘플 싸이트보다 최소한 2배는 선명하게 작업 하실 수 있을 겁니다. ^^;;;;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근데 게임이 피씨용 입니까?
    플쓰3 같은 게임기용인가요?

    이 차이도 세팅에 엄청난 차이를 가져옵니다. ^^;;;;
  • ?
    하얀강 2007.12.02 00:37
    윈도우에 베가스 조합 추천 드립니다
  • ?
    정배 2007.12.02 00:37
    머리긴혀기님의 엄청난 댓글에 감동했습니다.
    일단 게임은 피씨용입니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피시용이면 제가 말슴드린 범주 안에 있습니다.
    포스트 프로덕션이나.. 영상 편집실이나.. 갖춘 장비들은 상상이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우리는 지출 가능한 범위에서 그에 준하는 효과를 보려 하는 것이지요.

    처음 질문은 분명 8코어 피씨가 나을까 4코어 맥프로가 나을까였는데...

    캡쳐 과정을 무시하면...

    소프트웨어를 따져야하구요..
    8코어냐.. 4코어냐의 차이는 겨우... 렌더링 속도의 차이일 뿐입니다.
    네이티브 포맷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기능이 리얼타임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8코어나 4코어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대부분의 기능이 8코어도 리얼타임이겠지만... 4코어도 리얼타임이란 이야깁니다)

    편집에서는
    차라리 하드디스크 입출력 속도나 그 크기...
    사용할 수 있는 램의 크기가 더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HD라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안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제가 일선 포스트 프로덕션이나 제 개인 적인 경험으로 미루어..

    맥프로는 하드디스크 레이드 구성만 제대로 된다면... 파컷을 포함해서..
    HD 편집에 가장 원할한 솔루션입니다.
    같은 수준의 기능과 같은 속도를 구현해 놓을려면.. 가격적으로 5배~10배 정도는 더 주어야 할겁니다. ^^;;;

    만일에... 베가스로 HD 편집에 문제가 없는 솔루션을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다면..
    이것이 최선이겠지요...
    저와 제 주변의 경험상... SD는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만...
    HD에서는 상황이 완전히 다릅니다.
  • ?
    P. 2007.12.02 00:37
    머리긴혀기님 울트라 감동~!
  • ?
    쌈박 2007.12.02 00:37
    무슨 토론이 생겼나 싶어 들어와보니 혀기님 혼자놀기의 진수를 ~~~ㅡㅡ;

    대단하십니다. 짝짝짝~~~저도 감동~~
  • ?
    ㅇ인ㅇ 2007.12.02 00:37
    정말.. 완전감동의 댓글이네요.. 눈물이 글썽.. ;ㅂ;
  • ?
    늦깍이 2007.12.02 00:37
    이야 정말 해박한 지식을 갖고 계시는군요..
    저도 영상에 늘 관심이 많았는데....
    정말 대단하시네요...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흐흐... 제가 요즘 모션 그래픽과 편집일을 하기 때문에...
    현재 주력 분야입니다...
    직업적인 측면에서 보건데... 알고 있어야되는 상식입니당.. ^^
  • ?
    smoff 2007.12.02 00:37
    게임 캡쳐 편집 정도면 어느정도 컴퓨터면 다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도 한번 게임 캡져관련 영상을 만들었었는데요 저희는 EDIT BOX에서 편집 했습니다만
    그걸 저희 직원이 그냥 베가스에서 편집하는걸 본적 있습니다.
    타이틀 효과 같은것은 그냥 에펙으로 작업 하구요
    컴터는 그냥 델 컴퓨터 ...뭐 좋은 사양은 아닌데두요
    저희 회사는 맥프로 산지 5개월 정돈데 다들 손에 익지 않는다고 고이 모셔두고 파이널컷 구매해서 셋팅을 해 주었음에도 불구하고마구 베가스를 써 댄답니다.
    돼지목에 진주가 되어 버렸습니다. 뭐든 자기 좋은데로 쓰기 마련인가 봅니다. 에구 돈 아까워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2.02 00:37
    ㅎㅎㅎㅎㅎ 그거 저 주시던가... 싸게.. 분양하시저... ㅎㅎㅎㅎㅎ ^^;;;
  • ?
    유재남 2007.12.02 00:37
    머리긴혀기님... 승!!
    그대를 진정 "댓.글.의.제.왕"으로 임명합니다 ...
    ;)

질문과 답변

question and answe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일반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그래바 2020.09.03 18477
공지 Octane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file 이효원 2020.04.19 49169
공지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file 권오훈 2019.06.27 13010
공지 일반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권오훈 2019.06.27 4932
2527 Character [re] cloth질문입니다. 2 file 버럭길동 2007.12.23 208
2526 모델링 make object editable 질문이 있습니다. 4 기동 2007.12.22 382
2525 모델링 원을 누르는... 6 매화 2007.12.22 246
2524 기타 수평이 기울어졌을때?? 2 쏘가리하하 2007.12.21 1454
2523 파랜DR_ Render의 문제점입니다. 9 file 수옥 2007.12.21 184
2522 애니메이션 텍스트 애니메이션 즉 타이틀 작업 c4d에서 가능한가요??? 4 인간조조 2007.12.21 314
2521 텍스쳐 오브젝트가 Projection 메뉴에 있는 방식들의 복합적 형태일 때 맵핑을 어떻게 해주어야 하나요? 4 유재남 2007.12.21 234
2520 건축렌더링시 카메라 외곡때문에... 7 Pinnacle 2007.12.21 337
2519 모델링 반지의 제왕에서 나오는 스미골은 어떤 툴로 만든 건가요? 3 김끼자 2007.12.21 279
2518 파랜에서 헤어라인 만들때 질문입니다~ 2 시부야 2007.12.21 260
2517 파랜 넷랜더링에 대한 질문입니다. 13 file 수옥 2007.12.20 230
2516 기타 스카이라이트는 어떻게 쓰는겁니까?? 2 쏘가리하하 2007.12.20 202
2515 Sketch and Toon Sketch and Toon에서 유리재질 질문입니다 5 심재헌 2007.12.19 6457
2514 넷랜더 세팅질문입니다. 3 file 수옥 2007.12.19 251
2513 프로그램 SolidWorks에서 제작된 모델링을 Cinema4D로 가져오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13 유재남 2007.12.19 4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04 1605 1606 1607 1608 1609 1610 1611 1612 1613 ... 1777 Next
/ 1777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