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를 공부중에 자세한 옵션의 기능을 잘 알질 못해서 질문드려요..
우선 첫번째로 Basic옵션에서 Visible in Editor,Visible in Renderer,Shaded Wire Mode의 세가지 옵션
두번째로 Details의 Shadow Caster의 체크유무의 차이점,
세번째로 Absolute Bias의 체크유무의 차이점과 그에따른 Bias에 딸린 옵션값의 기능을 알고싶습니다.
사실은 다른것도 다 잘 모르지만 우선 이부분이 이해가 잘 안가서요..ㅡㅡ;;
Who's 웬룬희
?안녕하세요.. 배워보고 싶어서 가입합니다. 잘부탁해요~
Articles
- 라이트옵션의 기초적인 질문 드립니다.4
- 가장자리 엣지부분을 주저앉히는 느낌은 어떻게 표현하죠?5
- 축 설정하는거요2
- [맵핑] 바디페인터로 얼굴맵핑하기...3
- 시네마엔 orthographic view 가 없나요?8
-
로프트 넙스 사용시 끝부분을 둥글게 다듬는 방법이 있나요?6
- [re] 로프트 넙스 사용시 끝부분을 둥글게 다듬는 방법이 있나요?4
- 시네마에 들어가 있는 렌더러가 무엇 무엇이 있죠?9
- 마야 처럼 폴리메쉬에서 섭디브 메쉬로 어떻게 변경시키죠?7
- 오브젝트 스케일;;3
-
[re] 오브젝트 스케일;;1
- 이 질문도 유의사항에 포함되나요?...ㅜㅜ3
- lcd17인치 모니터 듀얼을 사용하는데요 색감이 차이가 많이 나는데요6
- [질문] ㅠ.,ㅠ 하드의 crc오류입니다5
-
헤어로 만든것이 오브젝트를 뚫고 나옵니다. 해결방법좀...6
순서대로 (에디터에서 보이기,랜더링할때 보이기,와이어색 정하기입니다.)
Visible in Editor,Visible in Renderer는 오브젝트메니져에서 오브젝트 만들면 작은 점 두개가 세로로 있죠 그거랑 같이 연동해서 작동하는거임 on,off 설정할때마다 그 작은점 색도 빨강으로 변하죠(해보면 암..)
Shaded Wire Mode도 해보면 쉽게 알수 있는데요. aways로 해놓고 밑에Shaded wire color에서 색을 정하고 에디터에서 그라운드
쉐이딩이나 퀵쉐이딩이나 콘스탄트 쉐이딩이나 그 옆에 (Lines) 표시된걸 선택하면 에디터뷰에서 각 오브젝트의 와이어 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죠.
다음.
샤도우 캐스터는 라이트를 여러개 추가했을때 몇몇 라이트들에 의해서 변하는 밝기는 무시한채 그림자만 표현하게 하는것이죠.
그러니까 라이트에 의한 광원효과는 무시하고 그림자만 필요할때.. 쓰는거
다음 Absolute Bias는 신경안써도 되는 디폴트값으로 나두면 충분합니다. 옛날 구버전의 라이트와 호환때문에 쓰는것이고 그림자계산에 필요한 내부처리방식사에 문제라서 디폴트값으로 나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