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링
2007.06.26 15:22

모델링 학습 관련 질문입니다.

주소복사 | 조회 수 289 추천 수 0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모델링 공부를 하려고, 강좌를 찾다가 마야와 라이트웨이브의 동영상 강좌를 찾았습니다. 마야나 라이트웨이브의 동영상 강좌를 참조하면 시네마 모델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 profile
    길동 2007.06.26 15:22
    뭐 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야는 넙스 모델링 말고 서브디비젼 방식을 찾으셔야 할 듯 싶네요..
  • ?
    한승현 2007.06.26 15:22
    제가 찾은 것은 다 폴리곤모델링 입니다...
  • ?
    배상민 2007.06.26 15:22 채택
    음 제가 광파 (라이트웨이브)유저인데.. 어떤 모델링을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예를 들어 캐릭터를 만든다면 섭디를 기본적으로 사용합니다..
    그리구 제품이나 자동차에도 섭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요즘은 거의 그런추세입니다.
    섭디모델링과 폴리곤 모델링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습니다.. 제가 말하는차이란 형태적인부분 말고 모델의 컨트롤에 관한거죠... 섭디란 폴리곤 모델의 형태를 틀(Cage)로 삼아서 그안에
    패치면이라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면을 생성해내는것이죠.. 실제적으로는 폴리곤을 여러번 나눈형태이고요.. 폴리곤 모델과 섭디모델은 형태적인 차이가 좀 있을뿐 컨트롤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습니다. 폴리곤 모델이 각이 졌다면 섭디 모델은 부드러운형태죠..
    모델링 관련 공부는 개인적으로 어떤툴로 배우던 별로 상관은 없다고 봅니다..
    모델링 툴로는 Silo, modo, 등도 있구요 사용방법은 거의 비슷합니다.. 어떤사람은 한면 한면
    생성해가는 사람이있는가하면 어떤사람은 기본형에서 폴리곤수를 증가시켜가면서 하기도하고... 3D란 다 공통됬다는거죠.. 점,선,면으로 이루어진.. 그걸 컨트롤함으로서 모델링을 해나가고 거기다가 고맙게도 많은 툴들이 비슷한 용어를 씁니다.. 베벨, 익스트루드, 무브, 회전, 스케일, 핵심적인 질문에 답을하자면 개인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냥 라이트웨이브나
    마야로 작업하는 화면들이 씨네마 4D라고 생각하고보세요.. 별차이 없습니다..특히 모델링
    부분은 3D소프트웨어들이 가장 공유가 되는 부분이죠..
  • ?
    배상민 2007.06.26 15:22
    아참 게임캐릭터 모델같은경우에는 로폴... 같은경우에는 섭디를 안쓰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냥 폴리곤 모델링...
  • ?
    한승현 2007.06.26 15:22 채택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전 제품디자인을 하는 라이노 유저인데, 맥스로 폴리곤 모델링 맛을 조금 봤었습니다만. 넙스 모델링과 폴리곤, 섭디 모델링에 관심이 있어서, 그 벽을 넘고 싶어서 노력 중입니다. 도움이 될만한 자료 있으시면 공유해 주세요~^^
  • profile
    박원석 2007.06.26 15:22
    모델링은 툴 다 거기서 거기입니다. 더 좋은 툴이란 없죠. 그러니 한가지 툴을 정하시고 그 툴만 정확히 익히시면 큰 어려움 없을 겁니다. 자꾸 기웃기웃 거리면 결국 어느 하나도 못하게 됩니다. 한가지 툴 확 정해놓고.. 그 툴에만 손 맞추십시오. 그러면 됩니다. 모델링은 정말로 정말로 다 거기서 거기입니다.
  • ?
    이젤 2007.06.26 15:22
    제가 저번에 드린 프로그램 있잖아요 ^^ 3DAce 모델러중엔 최강입니다 ^^ 섭디는 안되지만..
  • ?
    한승현 2007.06.26 15:22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폴리곤 모델링은 시네마로 해보려고 마음은 먹고 있는데, 마땅한 튜토를 못 찾아서, 개념을 좀 더 알아보려고, 다른 툴의 동영상을 구했을 뿐입니다. 정모에 부지런히 나가고, 배우고, 연습하면 좋은 결과가 있겠지요~ 제가 사실 여기저기 기웃거리는 것도 뭔가가 안 잡혔기 때문입니다. 모델링을 몇 개 해보면 될 것 같다는...ㅋㅋㅋ...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 profile
    길동 2007.06.26 15:22
    참고로 모델링 공부시 보통 간단한거 부터 시작합니다.
    하지만 이래선 언제 늘지 모르지요..

    메뉴가 어디에 붙어 있는지 감 잡으시면 바로 복잡다단한 것 먼저 도전해 보시길 권합니다.
    면이 꼬이든 이상하게 되든 한번 완성 해보시면 모델링에 감을 확실히 잡으실것입니다.
    이 단계를 넘으셔야 모델링이 한결 쉬어질겁니다.
    제가 추천하는 모델은 아래 이런 종류가 어떨까 합니다만...ㅎㅎㅎㅎ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럼 건투를!!!
  • ?
    정수석 2007.06.26 15:22
    건투가 마치 "전투"라고 보이는건 왜 일까요?
  • ?
    김재수 2007.06.26 15:22
    ㅡㅡ;; 저도 전투라고...

질문과 답변

question and answe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일반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그래바 2020.09.03 19573
공지 Octane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file 이효원 2020.04.19 50346
공지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file 권오훈 2019.06.27 14121
공지 일반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권오훈 2019.06.27 6095
13269 모델링 얇은 줄을 표현하고 싶은데요~ 4 file idiphy 2008.09.16 305
13268 모델링 한것을 라인만으로 랜더링을 하고 싶어요.... 6 바람 2008.10.14 305
13267 텍스쳐 텍스쳐를 믹스해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요..?? 3 mass 2008.10.26 305
13266 애니메이션 Y축으로 기울인 튜브의 축 회전에 대한 의문입니다.. 1 file 루마 2008.11.19 305
13265 GI 적용하고 필드 렌더를 걸면 이상합니다 .. 5 file komkom 2009.01.06 305
13264 모델링 오브젝트 배열에 관한 문제 2 file aither 2009.05.15 305
13263 모델링 그림자 품질 관련 문의드립니다. 2 file 난하오 2009.10.13 305
13262 모델링 boole이나 instance등을 사용시 현저하게 느려집니다. 7 file 쉐도우워커 2010.01.19 305
13261 모델링 나이프툴이 되다 안되다 그럽니다 3 쉐도우워커 2010.01.24 305
13260 텍스쳐 클론오브젝트로 만들어진 객체들을 따로 재질을 줄 수 이싼요? 3 file 임갬 2010.03.05 305
13259 MoGraph 링크영상에 도저히 알수 없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올립니다 5 신성호 2013.01.16 305
13258 모델링 대칭후 오프젝트를 각각의 오브젝트로 나누는 방법. 4 file 한스 2010.04.22 305
13257 애니메이션 null 오브젝트에 넣으면 애니메이션이 안돼요.. 2 file 슈퍼펭귄 2010.06.10 305
13256 처음 시네마포디를 사용하는데 레디오시티 부분이 없어서요~~ 5 감자왕 2010.06.10 305
13255 시뮬레이션 soft body stiffness 문제입니다. 2 file 흠... 2011.01.03 3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0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 1779 Next
/ 1779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