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한 후에 뷰포트에
라인 형식으로 애니메이션이 된 것이 보여지게 해주는
기능은 어떻게 키나요.
맥스에서는 되었는데 씨포디에도 있는 것 같은데,
어디에 있는지... ? ㅜㅜ
애니메이션 한 후에 뷰포트에
라인 형식으로 애니메이션이 된 것이 보여지게 해주는
기능은 어떻게 키나요.
맥스에서는 되었는데 씨포디에도 있는 것 같은데,
어디에 있는지... ? ㅜㅜ
원하던 답변은 아니지만 감사합니다.
제가 질문을 아리까리하게 올렸나봐요 ㅜㅜ
다시 보니 제가 대충보고 댓글을 단 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말씀하신 기능이 Trajectory가 아닌가 짐작이 됩니다만 맥스 안쓴지 너무 오래되어서 용어도 기능도 기억이 안나네요.
혹시 맞다면, Display tag로 어느정도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Ghosting - Enable 체크 해주시고 Draw Mode는 Trail로 주시면 라인이 생길겁니다.
라인 색이 눈에 잘 안띄어 before와 after에서 전 컬러만 손봐줬구요. 프레임 숫자 바꾸시면 그만큼만 라인이 표현됩니다.
frame step의 숫자가 클수록 라인이 뭉게지므로 1로 두시는게 좋을겁니다.
그리고 이동경로를 path로 뽑아내고 싶으시면 Mograph-Trac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공지 | Octane |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
이효원 | 2020.04.19 | 266865 |
| 공지 |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
권오훈 | 2019.06.27 | 217953 | |
| 공지 | 일반 |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 권오훈 | 2019.06.27 | 215776 |
| 14117 | 기타 | 비메오 결제 해보신분 계십니까? | 서득수 | 2015.07.16 | 2107 |
| 14116 | 텍스쳐 | 시네마포디 텍스쳐 설정질문입니다. 1 | 이재연 | 2015.07.15 | 935 |
| » | 애니메이션 라인 보여주기. 3 | 정짖영 | 2015.07.15 | 768 | |
| 14114 | 기타 | 짐벌링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 맹태씨 | 2015.07.15 | 943 |
| 14113 | 시뮬레이션 | cloth를 이용하여 제자리에서 펄럭이게 하는 방법 1 | 엠오디쇼 | 2015.07.15 | 958 |
| 14112 |
양쪽 고정된 선이 튕기는 모션이 궁금합니다.
6 |
어렵다 | 2015.07.14 | 971 | |
| 14111 | Bodypaint 3D | c4d r11버젼에 Linear Work Flow 기능이 어디에 있나요? 1 | 시스템최강 | 2015.07.14 | 767 |
| 14110 | 변환 & 연동 | 시네마포디에서 제작한 연기소스를 메시로 변환하여 STL로 저장이 가능한가요? 1 | 비주얼쇼크 | 2015.07.14 | 936 |
| 14109 | 애니메이션 |
text 애니메이션 질문입니다 ㅠ
2 |
매드로봇 | 2015.07.13 | 745 |
| 14108 | 말하는 캐릭터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하나요? 1 | 생개미 | 2015.07.13 | 857 | |
| 14107 | MoGraph | 혹시 각 레이어별로 나눠지게끔 저장이 되나요? 1 | 코코아닭 | 2015.07.12 | 977 |
| 14106 | 텍스쳐 | 스카프가 공중에 하늘거리는 장면과 실크느낌의 재질이 궁금해요 | 노친네 | 2015.07.12 | 911 |
| 14105 | 텍스쳐 | 맵핑 수정할 때 폴리곤 경계선이 사라지는 현상 2 | 다인 | 2015.07.11 | 1072 |
| 14104 | 단축키 | 한오브젝트만 보이는 단축키 1 | 민작가 | 2015.07.11 | 1292 |
| 14103 | 키프레임 사이사이에도 키프레임을 넣을수 있나요? 2 | 장털이 | 2015.07.11 | 795 |
키가 들어간 곳에 우클릭 후 Animation- Show F-Curve 하시면 됩니다.
그냥 오브젝트에 우클릭해도 가능한데,
차이점은 위 방법으로 했을 때 여러 키 중 선택된 값만 보면서 작업할 수 있어서 선호하는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