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복사 | 조회 수 1448 추천 수 0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렌더링이 들어간 강좌들을 따라하다 보면 이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참 자주 사용하게 되더라구요.


그런데 이 기능이 정확히 어떤 역활을 해 주는건지 학문적인 관점으로 좀 해설을 듣고 싶은데, 알수가 없네요 


렌더링시 때깔이 고와진다는것 말고는 제 선에서 더 이상 알 수 있는것이 없습니다.ㅜ


간단하게 나마 이 설정이 하는 역활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김건균 2013.07.18 01:47

    헬프에 매우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한글 헬프를 읽어 보시는 쪽이 이해가 빠를 것이라 생각되네요^^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GI는 빛의 분산을 연산하여 표현해 주는 기능이라 볼 수 있습니다.

    현실 세계에서 적용되는 빛의 분산 원리와 비슷한 작동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CG스럽지 않은(?),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표현을 손쉽게 구현하기 위한 기능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것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샘플 사진이 C4D 헬프에 첨부되어 있습니다)


    숙련된 사용자들은 GI 없이 기본 라이트만으로도 더욱 사실적인 씬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GI를 사용하게 되면, 라이팅에 대한 숙련도가 적은 초보자이더라도 손쉽게 사실적인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렌더 타임이 좀 더 많이 걸립니다..)


    GI를 쓰게 되면 대부분의 경우 때깔이 좋아지는 것은 사실입니다만(비교적 사실적인 표현이 되니깐요),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언제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또한 사실적인 렌더링에 있어서는 GI보다 피지컬 렌더가 더 뛰어납니다.

  • ?
    이선 2013.07.18 03:06

    네.. 그렇군요 ㅎㅎ 정말 감사합니다.


    한글 핼프는 한글판에서만 되는 것이겠죠?ㅜㅜ


    정말 마른땅에 단비같은 조언이었습니다.~ 감사해요 ^^

  • ?
    이선 2013.07.18 03:13

    "숙련된 사용자들은 GI 없이 기본 라이트만으로도 더욱 사실적인 씬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합니다."


    라고 말씀하셨는데, 이 말씀은 되도록이면 GI는 사용하지 않는편이좋다는 의미인가요?

  • ?
    김건균 2013.07.18 13:22

    한글 헬프를 영문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질답게시판에 검색하면 찾으실 수 있을 거예요.

    아주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한글 헬프를 설치한 후, 영문 헬프 폴더와 한글 헬프 폴더를 서로 바꿔치기하면

    영문 인터페이스에서 한글 헬프를 띄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GI는 스틸 컷 렌더링에 많이 쓰이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하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스틸 컷 렌더링 시에 GI보다 피지컬이 더 낫다고 생각하는 편이구요.

    애니메이션이 들어간 작업에서는 GI를 쓰지 않는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저도 모션그래픽 작업을 하는지라..GI는 쓰지 않습니다.

    렌더링 시간의 압박도 있고..곰팡이 현상도 골치아프고 해서요.

  • ?
    카이젤블루 2013.07.18 04:13

    http://www.cinema4d.co.kr/450580
    http://www.cinema4d.co.kr/988641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
    이선 2013.07.18 13:10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
    .피. 2013.07.18 13:32

    윗분들이 답글에 상세하게 설명해주셔서 본론은 생략하고요.


    분명한것은 기본 라이팅에 대한 이해가 없이

    GI를 접근하는 것은 작업자 본인에 "독" 이되고

    이해가 충분한 상태에서 GI는 "득" 이 됩니다.


    흡사 양날의 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
    이선 2013.07.18 15:06

    저도 그런 생각 때문에 질문하게 됬습니다.


    라이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GI를 알게 되니 처음엔 정말 가슴설레는 일이었지만,


    라이팅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는 상태다 보니 뭔가 계속 찜찜하더라구요..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 ?
    도룡뇽 2013.07.18 14:17

    정확한 사전적 개념은 정리를 해드릴 수 있는 실력은 아니지만

     

    렌더링에 있어서 라이팅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거든요.

     

    VFX쪽이나 프로덕션쪽은 라이팅 담당자가 따로 있으니까요.

     

    그만큼 결과물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게 라이팅입니다.

     

    저도 그정도만 알고 제대로 라이팅을 사용을 못하구요.

     

    고수들은 사진의 빛을 그대로 표현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만큼 빛에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하구요.

     

    윗분 님 말씀대로 GI를 사용하지 않고도 GI를 표현하시는 분들도 계시구요.

     

    최근들어 GI를 사용해도 제시간에 결과물을 뽑을 수 있을 만큼 컴퓨터가 좋아져서

     

    많은 분들이 GI를 사용하시는데 정작 라이팅에대한 기본이 없는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저를 포함해서..ㅎㅎ

     

    그래서 경력이 오래 되신 분들은 고릴라 프리셋 라이팅을 권장을 안하죠.

     

    부작용이 심해서 응용력도 떨어지고 라이팅 세팅 조차 스스로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것같습니다.

     

    우선 기본 라이팅은 간접광 표현이 안됩니다.  간단히 말해서 빛이 벽에 부딪혀도 반사가 안된다는 말이죠.

     

    그러다 보니 비쳐주는 면과 비쳐지지않는 부분은 그림자로 표현되지요.

     

    그래서 반대쪽에서 키라이트보다 낮은 수치의 빛을 줘서 어두운 부분을 채워주구요.

     

    그게 필라이트겠죠. 암튼 그런 번거로움을 GI는 알아서 계산을 해줍니다.

     

    간접광을 통해서 컴퓨터가 알아서 해주죠.

     

    그만큼 계산을 알아서 해야하니까 당연히 렌더타임은 길어지구요.

     

    제가 알고있는 수준에선 이정도네요^^;;ㅎㅎㅎ

     

    윗분님들 말대로 알고쓰는것과 모르고 쓰는것의 차이는 약과 독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3D는 배울게 너무나 많네요^^


질문과 답변

question and answe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일반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그래바 2020.09.03 18516
공지 Octane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file 이효원 2020.04.19 49195
공지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file 권오훈 2019.06.27 13036
공지 일반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권오훈 2019.06.27 4967
12566 애니메이션 바인드와 IK세팅에 골 제어용 에스프레소까지 적용된 캐릭터의 웨이트 수정 문제입니다. 1 file 첫경험 2013.08.29 421
12565 모델링 인체 내 입체구조 모델링 관련 질문입니다. 3 file 골뱅이 2013.08.29 432
12564 기타 vray나 조명 맵핑같은것들은.. 3 레반도프스키 2013.08.29 435
12563 Dynamics 오브젝트 파인 부분에 보이지 않는 공간 문제 2 file 티몬 2013.08.29 259
12562 그 외 시포디 윈도우8에 설치하신분들 계신가요..? 3 file 헨리님 2013.08.28 410
12561 시뮬레이션 Headphone 에 나온 Cloth 질문이요 2 file 마이야히 2013.08.28 415
12560 텍스쳐 스컬링 하고 헤어하니까 수정이안되요. 3 file 달려!! 2013.08.27 397
12559 MoGraph cloner를 이용해 구의 횡방향에만 맞추어 circle을 복제할 수 있을까요? 2 file 블루혜 2013.08.27 347
12558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 테그에 rigid body 사용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file 더브리즈 2013.08.27 500
12557 MoGraph 크로너에 사진을 양면이 각기 다른 사진을 넣으려고 합니다 2 다나 2013.08.27 318
12556 그 외 c4d 기본카메라 왜곡현상... 2 하야륭 2013.08.27 910
12555 기타 스마트폰에 Help를 넣어 볼 수 있나요? 1 곰달래 2013.08.26 326
12554 MoGraph 종이 찢어지는 효과를 주고싶습니다 1 file 플라이댕 2013.08.26 1128
12553 오브젝트 버퍼로 뽑은 개체의 외곽의 하얀 라인이 생깁니다. 3 file 카리닷컴 2013.08.26 649
12552 기타 한국말로된 시포디강좌.... 5 안녕하늘이 2013.08.24 6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5 936 937 938 939 940 941 942 943 944 ... 1777 Next
/ 1777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