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oscopic, 즉 3D입체영상을 제작하고싶은데, 과정에 힌트를 좀 얻고싶습니다.

by 큰놈 posted Jun 09, 2013 Replies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시네마4D로 3D 오브젝트들 애니메이션(3D모션그래픽)들을 만들어서 1~2분내외로 


적청안경(편광안경)을 착용하여 일반인들이 볼 수 있는 영상을 만들고싶습니다.


제 지인이 정보가좀 있어서 자문을 구하고자하였지만, 그친구도 아직 잘몰라서 


유저그룹에 혹시 경험이 있으신분들에 조언을 얻고싶어 글을 올리게되었습니다.


이미 질문과답변란에서 입체영상관련 글은 봤구요, 뭐 종류가 있다는 정보는 얻었지만,


구체적으로 제작과정이 어떻게되는건지 궁금해서 여쭙고싶습니다.


/


일단 제가 아는 과정으로는 cinema4d 렌더옵션중 Streoscopic 옵션이 뭔가 관련된 것같은데 


이 설정만 켜주어 렌더링을 하면 가능한것인가요?


위에 그 친구에 얘기로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일단 영상을 제작 후 에프터이펙트에서 마스크들을 따서 왼쪽오른쪽으로


좀 옮기면 된다고하는데이해가 잘안됩니다. 저희가 보통 3D 영화를 볼 때 안경을 착용하지않고 보게되면 RGB들이 분산된 것들이


그 친구가 말하는것같기도하구요.


그리고 작업할 때 3D 모니터가 있어야한다고하는데, 제가 졸업작품으로 한번 계획하고있는거라, 렌트해서 작업하는게 효율적일지요


참 그리고, 그 영상을 쏴주려면 그냥 빔이 아닌 3D 프로젝트빔이 따로 있다고하는데 가격이 어마어마하더라구요.


그냥 3D TV를 어떻게 빌려서 전시하는편이 날까요?




정리하면, 


(1) Cinema4d의 Streoscopic 옵션이 실제로 입체영상을 제작해주는 옵션이고 과정이 맞는지


아니면 그냥 영상을 뽑아서 제 친구의 말대로 에프터이펙트에서 프레임노가다 작업하는 과정이 맞는지 이게 제일 궁금하구요.


(2)  제작할 때 3D모니터가 필요하다고하는데 이 경우 이 장비를 구매하면 할 수 있지만, 렌트하는게 나을지 구매하는게 나을지요.. 아니면 현재 제가 노트북으로만 작업하고있어 모니터가 따로없는데 3D가 되는 모니터로 하나 구매하는게 나을까요?


(3) 영상제작이 완료되어 전시를 할 때 3D가 지원이 되는 프로젝트를 구해서 쏘는게 상영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3DTV를 렌트하여 상영하는게 나을지 참고로 장소는 보통 전시관들 정도되구요, 제 개인 부스에서 상영할 것 같습니다.


내년이라 아직 정확하게 정해진건없지만요.



  • ?
    술독 2013.06.10 09:32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제임스카메론 말대로 3d는 3d툴을 통해 구현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고요

    3d모니터는 굳지 필요없고 싼 적청으로 테스트 해본후

    최종아웃풋을 경정하여(3d tv 및 프로젝터) 최종 테스트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d tv 및 프로젝터가 있을시에는 바로바로 테스트하는것이 가장 좋을거 같아요~

  • ?
    큰놈 2013.06.10 10:27

    적청으로 테스트 해본 후(작업할 떄 집에서 적청안경을 착용하고)


    편광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는건가요?(전시할땐 비교적 색손실이 적은 편광방식으로)


    두방식이 다른종류인건 알겠는데, 과정도 다른건가요?


    그러니까 적청방식이나 편광방식이 안경만 다른걸 쓰면 되는건아니잖아요?


    과정은 어떻게 다른거죠?

  • profile
    달사람 2013.06.10 13:16

    유저그룹 이용시 질문글 안에는 하나의 질문만 하시는게 원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