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2007.10.04 14:33

드디어....

조회 수 1253 추천 수 0 댓글 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

.

 

4.남과 북은 현 정전체제를 종식시키고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직접 관련된 3자 또는 4자 정상들이 한반도지역에서 만나 종전을 선언하는 문제를 추진하기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

.

.

 

정일씨도 나일 먹더니 맴이 좀 부드러워 진걸까요? 휴전이 아닌 정전이라~~  ('  .  ' )a

굳이 4자(얘들은 꼭 껴줘야 하는건가?) 회담이라는게 좀 맘에 안들지만,.. 어째든 독일을 최대한 벤치 마킹해서 큰 충격파 없이 주적이 일본이나 중국이 될수 있는 날이 왔음 하는 바램 입니다~ ㅎㅎ
  • profile
    슈퍼맨 2007.10.04 14:33
    윗동네 뽀그리는, 언제나 그래왔듯이 겉으로는 입에 발린소리를 하면서도, 뒤에서는 대포동 미사일 차기작 개발에 올인한다에 10원 걸겠습니다.
  • ?
    CUBE 2007.10.04 14:33
    ㅎㅎ 제가 정일이라도 대포동 미사일 만들었을 겁니다.
    핵은,... 약소국이 강대국을 상대할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죠. 미국 일본은 남북 정상회담 중에도 줄곧 "한반도 비핵화" 만 외쳐 댔죠... 정말 통일이 된다면 이번에야 말로 친미, 친일파들은 완전히 배재 시켜 무슨수를 써서라도 핵은 보존해야 할겁니다.
    세계 평화를 운운하기엔 -1 이 된다고 해도 이미 지구엔 핵이 넘쳐 납니다.

    미국이 먼저 공격하지 않는 이상 북한이 핵을 쓸일은 없다에 20원 걸죠! ㅎㅎ
  • profile
    이단비 2007.10.04 14:33
    전 절대 민족주의자도 아니고 좌파도 우파도 아니고 싶지만....큐브님 말씀에 동의하며 30원 걸죠 ^^
  • ?
    완소홍시 2007.10.04 14:33
    저는 남한의 대선을 앞두고, 추락해 있는 민주당의 득표율을 의식한 이 정권과 북한의 의도적 협력에 30원 걸겠습니다.

    (사실, 미,영의 이라크 참전 인원 감축에 따른 한국군 철수문제와 6.25 종전선언에 대한 미국과의 외교적 갈등과 그에
    반응하는 국민적 여론을 분산시키기 위해, 신정아 사건을 크게 부풀린거 아닙니까요? 그 2가지 문제는 최근 외국 일간
    지에서 심각한 수준으로 보도되었고, 울나라 외무부 장관이 놈현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반기를 둘었는데도 국내는 신
    정아 사건으로 조용~~~ 심지어 신정아 누드사진까지 흘려가지고 여론을 돌려놨으니 더 말할 필요가...)
  • ?
    이젤 2007.10.04 14:33
    입에발린 쑈쑈쇼에 한표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0.04 14:33
    액수가 10원씩 오르고 있군요.

    미사일이야.. 우리도 크루즈 미사일이다 최강 탱크다 이지스 함이다 만드는데
    기회만 된다면 무조건 만드는게 기본 같구요.

    신정아 사건은 사건 본질 보다는 연애 편지나 누드에만 정신이 팔려있다는 게 문제지요.
    (저는 이런걸 포르노 저널리즘이라고 부릅니다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일본과 같은 경제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우리나라는 7000만에서 1억 5000 정도의 소비 인구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자체 땅덩어리나 인구밀도로 봤을 때는 어려운 일입니다.

    이러기 위해선 남북한 경제가 통합되는 일이 필요하고
    북한도 체제가 안정이 되어서 인구가 팍팍 늘어 주어야합니다.
    북한에서 생산하는 것도 원가/비용/품질의 면에서도 전략적인 선택이지요.

    그렇다고 흡수 통일이나 북한 체제 붕괴에 의한 통일은...
    우리나라가 그정도 감당할 돈은 사실 없구요.
    (우리나라 경제력이 일본 정도 된다면.. 머 가능한 일입니다만..)

    그전에는 우리나라 경제는 미국과 일본의 바람에 계속 휘둘려야 합니다.

    사실 이 이야기는 김영삼 정부 출범 때 나온 이야기 인데..
    정상회담 직전에 일성쓰 할아버지가 죽는 바람에... 쩝쩝...
  • ?
    이젤 2007.10.04 14:33
    핵폭탄 수천개가 있어도 국제적 고립당하면 끝이죠 북한이나 이라크쪽 동내야 쭉~없이 살아와서 버티는거지... 남한이 고립되면
    반년도 못가서 곡소리 날걸요.
    애들처럼 내가 쎄 니가 쎄 장난도 아니고
    종전이니 뭐니 북한은 그것이 문제가 아니고 개방을 하느냐 마느냐가 문제죠 지구상에서 가장 폐쇄적인 나라가 저절로 만들어진것이 아니라 지들도 못하는거지... 하면 죽는데 통일? 북한 체제가 무너지기 전엔 힘들껄요. 지금도 탈북시도하다 잡히면 수용소로 끌려가 끝장나는데 어느세월에.... 북한이란 곳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체제유지가 최선목적이지 그 목적때문에 핵을 만드네 어쩌네 하던거지 민족을위해? 악의축 미국때문에? 통일을 위해?
    아니죠. 체제유지를 위한 돈이 필요한것뿐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0.04 14:33
    이젤님 맞는 이야기 인데.. 누가 그렇지 않다고 하던가요???

    통일 힘듭니다. 체제 무너지면 더 황당하고..

    그저 경제권 통합이나... 이루어졌으면.. 바라는 것이고(이것도 100년 안에 되면 빠른거저..)
    (이것이 안되면 경제 규모상.. 우리나라 힘듭니다. 90년대 대만이 경제 모범생이었는데..
    한동안 헤맸던 거 보세요. 규모의 문제가 해결이 안되면 대만식입니다)

    먼저 사라저 가는 이산가족 들이나 상봉 했으면 좋은 일이지요.
  • ?
    이젤 2007.10.04 14:33
    인구적어도 싱가폴은 잘사는데요 뭐 경제라는것도 북에서 금이나 펑펑 쏫아지면 모를까 경제편성이나 질적수준이 완전히 다른데 얼만큼 더 얻을지도 모르고 이미 3차산업이 주류인 남한에서 석탄캐러 가는것도 아니고. 결국은 미국이나 남한이나 아무리 떠먹여줘도
    거기서 안변하면 소용없다는거. 남한에서 누가 온다고 밤잠못자고 평양 청소했을 주민들만 불쌍할뿐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0.04 14:33
    싱가폴, 홍콩, 네덜란드 같은 나라는 경제 모델이 완전히 다른 나라들입니다.

    싱가폴제 물건 가지고 계신거 있나용?
    싱가폴제 그래픽 카드, 싱가폴제 프로그램, 싱가폴제 램 같은 거 쓰시는거 있나요?

    1,2 차 산업 기반이 여전한 우리나라는 싱가폴 같은 경제 모델로 전환하기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
    유재남 2007.10.04 14:33
    머리긴혀기님은 정치적 이슈에 강하신가요??? ^^;; 열변을......
  • ?
    이젤 2007.10.04 14:33
    싱가폴 같은 경제모델로 가야해요 살려면 1 2차 산업들은 한국에서 인구수가 부족해서 문제되는 부분은 없어요 자급자족체제가 지난지 오래니까...2차라도 단순 2차산업이 아니고 중화학 이상이고 단순2차산업 그 이상도 중국파워때문에 얼마못가죠

    경제에 인구문제가 플러스가 되는경우는 후진국이 아닌이상 그 인구의 소득수준이 상향 비슷할때 가능한 이야기구요. 그러니까 mp3플레이어를 팔면 그걸 살 수 있는 인구가 얼만큼 있느냐죠 강냉이 몇알이 없어서 굶어죽어가는데 별 도움이 안되거든요. 국내에서 소비되는 수준이 비슷할때나 가능한거예요.


    베트남 인도 파키스탄 남한보다 인구 훨씬 많아요. 노키아 만드는 핀란드 5백만정도일껄요. 어느나라에서 컴퓨터 부품을 안만든다고 그쪽 경제모델이 아니라는것은 좀 그렇구요.
    삼성이 램을 만들어 파는데 북한이 필요하진 않거든요.
    통일이되서 인구가 늘어나면 그래픽카드를 좋은걸만들수가 있는지는 모르겠죠.
    하지만 인구가 많은 후진국들이 인구가 적은 선진국보다 많죠.

    이상과 현실은 다르죠.
    이야기가 이상하게 갔지만....

    뭐.. 여기까지 할렵니다. 결국은 통일이든 뭐든 뽀글이 맘이니까
  • ?
    CUBE 2007.10.04 14:33
    북한이 체제 유지를 위해 핵을 만들었다는건 당연한겁니다. 한낫 정당들도 지들 당 세력을 유지하려고 그 난리를 치는데 비공식적이나마 국가체제가 그 체제를 유지하려고 하는건 당연하죠. 그 자체를 가지고 이야기하는건 아무런 의미가 없죠...

    다만 점차적으로 변하고 있다는게 바람직하다는 겁니다. 초등학교 다니던때 승냥이다 늑대다 하고 배웠던 북한이란곳을 이제는 관광을 하기 위해서 또 회사를 운영하러 가게 됐으니,.. 점점 바뀌어 가는 거죠.

    그리고,... 핵이란것이 쎄니 약하니의 문제는 아니구요... 미국이 가지고 있는 핵무기의 양과 북한의 핵은 양적으로는 비교가 안되지만 전쟁 억제력 면에서 본다면 그 양의 차이만큼 크게 나지는 않을겁니다.

    어째든 결국엔 통일이 되야할 상댑니다. 미국이나 일본보다는 더 가까워 져야할 대상이기도 하구요.
    아직도 미국은 자유의 수호신 이라고 생각하는 연세 지극하신 분들이 많습니다만,.. 이라크의 민중을 해방시키기위해 벌인 전쟁에서 가장 많은 희생을 치르고 있는 사람들이 바로 이라크의 시민들일겁니다. 미국이란 나라는 전쟁없이 국가를 유지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구요.

    세계적인 석학들은 통일된 한국에 대해서 나름 긍정적인 전망을 하는데,...굳이 우리가 그렇게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잖아요? ㅎㅎ
    내일 당장 통일하자는 것도 아니고,..뽀글이 아저씨가 떠난 후일수도 있겠죠. 가능하면 천천히 진행되야할 일일거구요. 찬~찬~히!
  • profile
    byjin 2007.10.04 14:33
    일단 김정일이 죽고난뒤의 후계자 구도가 어떻게 되냐에 따라 통일이 급진전될지 지지부진해질지 전망되네요.
    제가볼 땐 김정일은 통일할 생각 없어보입니다. 죽기전까진... 립서비스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닐겁니다....
    어떻게 얻은 권력인데요...
    근데, 김일성이 좀더 늦게 죽었다면 지금과 다른 상황 이였을거라는주장도 있었죠 김정일 쿠테타설이죠..
    김일성이 죽기전에 통일을 급진전하려하자 자기 지위를 위협하는 상황이라 아버지를 죽이고 반대세력은
    모조리 숙청 후 김정일체제로 급물살을 타는... 이 얘긴 저도 사실인지는 몰라도 어느정도 그렇게 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은 있었던거죠... 체제유지에 대한 제 각은 이렇습니다.
    근데, 지금과 같은 상황은 그때와는 다릅니다. 막다른 골목이란 얘기죠.. 중국과 같은 경제발전 모델을 참고삼아
    체제개방을 좀더 적극적으로하고 무기쪽에 신경을 덜 썼더라면 지금과 같은 상황까진 아니였을겁니다.
    자기의 독재가 무너질까봐 북한국민을 낭떠러지로 앞으로 밀어버린거죠... 해외에서는 이미 북한을 중국처럼 값싼
    노동력으로 공장을 새우는등 여러가지 투자를 할 곳으로 보지 않습니다. 메리트가 전혀없는거죠. 제약도 많고 설비도
    있는게 없으니 무에서 일으키기가 힘든거죠 북한에 투자하느니 차라리 중국이 더 나은거죠...
    이런 상황에 우리나라에서 노동력을 이용해서 기본 설비에 투자하는것은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문제는 투자한만큼 우리나라가 얻는게 거의 전무 한게 문제죠... 그것만 좀 어케해서 가는게 있으면 오는게 있어야되는데
    열을 주면 하나얻어오기도 힘드니... 그래서 통일은 한참 힘들어 보입니다...
    다른얘긴데 참 한심한 나라라는 생각이 드는 소식이였죠 정상회담하는데 철원과 연천지역에 땅값문의가 폭주했다는 뉴스보고
    이나라 통일되나 안되나 똑같은 나라되것구나 했죠... 더 어이없는건 이미 땅값이 금값이라는거죠..ㅋㅋㅋ
  • profile
    이단비 2007.10.04 14:33
    김정일 사후 군부의 장악도 두렵긴 하더군요... 급작스레 군권정치로 가면 어찌될지 모르죠..

    머 죽기전에 세습체제를 다시한번 강화하겠지만.. 비유가 적당한건 아닌데.. 부자가 삼대를 가지 못한다는 말도 있잖아요..^^

    큐브님 말씀대로 지금부터 찬찬히 노력하면 남북 쌍방간에 체제붕괴나 급작스런 변화에 충격은 덜할 걸로 예상됩니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0.04 14:33
    어.. 이단비님.. 제가 아는 격언과 다르네요.
    "부자가 망해도 3대는 간다.. "
    이거 아니었던가요?? 긁적긁적~~

    다들 정치적 이슈에 민감들 하시네요. ㅋㅋㅋㅋ

    작업하다 지쳐서 들어와 보니.. 오우..~~

    다시 말하지만 이젤님 말씀/혜안은 대부분 맞는 거구요.
    그런 경제 정책을 가질 수도 있고 못할 수도 있는 겁니다.

    현실적으로는 북한이 안망하는게 더 낫다는 거저.
    현실적으로 경제구조를 바꾸는 것도 불가능에 가깝지요.
  • ?
    KOS 2007.10.04 14:33
    통일또는 평화체제의 필요성(물론 개인적인...^^)

    레드컴플렉스, 경제수준에 비해 저평가된 주식시장, 불합리한 국방비, 징병제의 개선(가장중요)
  • profile
    머리긴혀기 2007.10.04 14:33
    코스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하나만 덧 붙히자면 우리나라가 후진성을 못 벗어나는 가장 큰 문제는... 역쉬...

    "교육의 문제"가 아닐까 하네요.

자유게시판

Free Board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자유 옥테인구독자 KitBash3D 한달에 하나씩 무료로 다운받는방법 15 강우성 2022.01.07 10029
공지 자유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6 file 이효원 2020.04.19 8930
공지 자유 C4D 질답 게시판 검색 스크립트 19 file 에이제이 2020.03.05 8252
공지 자유 [글타래]3D입문자에게 하고싶은 이야기~ 25 4번타자마동팔 2012.09.07 419023
공지 공지 서로간에 상처가 되는 말은 자제를 부탁 드립니다. 13 file 최고관리자 2012.06.19 424423
공지 가입인사 가입양식 최고관리자 2012.06.15 13148
공지 공지 동영상 올릴때 주의 사항! (iframe방식만 사용) vimeo/유튜브 첨부시 코드사용 안내 7 file 정석 2011.09.29 398295
1796 자유 마야에서 c4d... 7 2007.10.05 1211
1795 재남님 결국은 ㅡㅡ;; 8 file 김재수 2007.10.05 1191
1794 C4D 초보의 고민... 9 eyefake 2007.10.05 1718
1793 자유 보이는 역사와 보이지 않는 역사가 있다? 8 늦깍이 2007.10.04 1251
1792 자유 UC Berkeley 강의 1 하얀강 2007.10.04 1162
1791 설문 윈저 5200 이면,.. 13 CUBE 2007.10.04 2650
1790 하얀강님 새로운 버전 12 file 이단비 2007.10.04 1444
» 자유 드디어.... 18 CUBE 2007.10.04 1253
1788 ZBrush 의 경쟁 상대, 다시 등장. "3D Brush 2.0" by Russia 9 file 카이젤블루 2007.10.04 2224
1787 자유 꼴랑 0.5의 버전업에 딱 어울리는 업데이트인 듯... 8 슈퍼맨 2007.10.03 1113
1786 자유 정모 영상입니다 14 정배 2007.10.02 1144
1785 본 씨리즈 좋아하시는분..ㅋㅋ;;-_- 4 전우열 2007.10.02 1446
1784 자유 정모 영상 올려도 되나요 ? 6 정배 2007.10.02 1161
1783 필승회관 추천요~ 10 file P. 2007.10.01 2667
1782 자유 윈도우즈에서 괜찮은 MPEG Encoding 프로그램 소개 부탁드려요... 11 유재남 2007.10.01 1439
1781 정석님 바디 바꾸셨네요...?ㅋ 5 강억모 2007.10.01 1321
1780 역시 MS! 8 길동 2007.10.01 1151
1779 자유 디워 미국 개봉 세째주만에 드디어 1000만불 돌파했군요... 7 슈퍼맨 2007.10.01 1126
1778 자유 정모에 완전 초짜 가도 되나요? ㅜ 3 시부야 2007.10.01 1125
1777 자유 원피스... 9 늦깍이 2007.09.30 12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843 ... 928 Next
/ 928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