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그래픽 카드 질문

by 쏘리맨 posted Mar 24, 2013 Replies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질문이 있습니다.

 

최근 몇개의 프로젝트와 CG를 C4D로 작업을 하게 되었는데요. 이상하게도 프리뷰가 멈추거나 버벅거림을 느꼈습니다.

 

따라서 다시금 그래픽 카드를 의심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제가 2560 30인치 모니터를 두개 쓰고 있습니다. 따라서 울며 겨자먹기로 그래픽 카드를 두개 달개 되었는데요.

하나는 메인으로 NVIDIA gefoce GTX 560, 그리고 오로지 모니터 출력용으로 NVIDIA gefoce GT 520 를 쓰고 있습니다.

 

물론 GTX 560이 뛰어난 그래픽 카드는 아니지만 심지어는 프리미어도 가끔 끊기는 것 보면 어떤 다른 문제가 있는가 생각이

됩니다. 혹시 GT 520때문에 그래픽 카드 성능이 전체적으로 더 떨어진 것은 아닌지 모르겠어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마더보드는 X79 EXTREME 6입니다.

 

 

혹시 그냥 완전히 그래픽 카드를 교환하여야 할까요 아니면 얼핏들었는데 GT-520을 빼버리고 같은 GTX 560을 하나 더사서 듀얼로 설치해서 묶는 것이 좋을까요?

 

 

(혹시 제 메모리 32기가에 많은 비난은 하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ㅠㅠ 마더보드 램슬롯이 총 8개인데 같은 종류의 저렴한 삼성 램이 있어서 8개 다 꼽았습니다 ㅠㅠ)

 

그리고 만약 추천할 만한 그래픽 카드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Who's 쏘리맨

?
안녕하세요. 열심히 하겠습니다
  • ?
    샤르도네 2013.03.25 00:28

    SLI구성시 동일한 그래픽카드를 사용해야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아닐지도,.,)

  • ?
    엘라스틱마인드 2013.03.25 10:39

    그래픽 카드에 따른 뷰포트의 느림은 사실 그래픽카드를 비싼거 다는 만큼 효율이 좋진 않습니다.

     

    이 기회에 프록시 개념을 익히셔서 아에 작업 과정중에 원본 모델의 근사 - 프록시 모델을 만드는 

    시간을 할애해 두시는게 앞으로도, 그 어떤 무거운 데이터가 들어 오더라도 핸들링 할 수 있는 실력이 되는 겁니다.

     

    디스 플레이스먼트 맵을 이용한 렌더링을 하는 이유도 로우 모델이 하이모델의 프록시 모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프록시 모델을 만드는 방법은

     

    1. 직접 로우 토폴로지를 만들고, 렌더링시 바꿔쳐서 렌더링 하는 방법이 있고

    리토폴로지를 해서 디스맵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이 가장 원론적인 방법 입니다.)

     

    2. 렌더러마다 지원하는 프록시의 방법을 쓰는 방법이 있고

     

    3. Dispaly 태그를 통해서 LOD(level of detail) 을 쓰는 방법이 있고

     

    4. Dispaly 태그를 통해서 쉐이딩을 Box 같은 형태로 바꾸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이 모델을 수정 해야 한다면 당연히 1번의 방법으로 리 토폴로지를 해야 하며, 그 뒤 원본과 대조하여

    디스플레이스먼트 맵을 뽑아야 합니다. 그게 당연한 것처럼 받아 들여야 합니다.

     

     

    그냥 하이모델이 아닌 단순히 많은 수의 폴리곤이라면(나무처럼)

    2, 4 의 방법을 써야 합니다. 4번은 단순히 원본 모델대신 쉐이딩용 바운딩 박스로 보여지게 됩니다.

     

     

    하이 모델이고 다른 수정점이 필요 없다면, 2,3,4 번으로 하면 됩니다.

    3번이 로딩한 포인트의 갯수를 줄여서 근사레벨의 메쉬를 만들어 줍니다.

     

     

    단순히 그냥 돈을 투자 해도 되는 상황이라면

    쿼드로 같은 뷰포트 가속 전용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그 어떤 것을 만들더라도 프록시를 사용하는 일은 당연한 것입니다.

     

    게다가 3D를 사용해서 영상이 나오기 까지의 과정을 생각 해보면

    쿼드로를 사느니 50% 아래 성능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고,

    50% 디테일의 프록시를 사용하고 쿼드로 살 돈으로 렌더링 전용 슬레이브 PC를 하나 더 마련하는게 유용 할 것입니다.

    렌더팜을 이용하는게 아니라면, 어느 경우에라도 CPU 파워를 더 추가 하는게 유용합니다.

     

     

    다만 많은 것 들을 프록시 해야 하나? 와 그래픽카드가 좀 더 좋다면 좀 더 적은 것들을 프록시 해도 되나로 나뉘는 문제 입니다.

     

  • ?
    쏘리맨 2013.03.25 14:35

    아 좋은 말씀감사합니다.. 참고 하도록 하겠습니다...

  • ?
    술독 2013.03.25 10:52

    약간 다른 얘기기는 한데요 프리미어 프리뷰는 그래픽카드나 cpu보다는 하드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 요즘 hd사이즈의 작업물들이 많아지만서 일반하드로는 사실 힘듭니다.

    프리미어를 원만하게 돌리시려면 레이드구축을 추천드립니다. 레이드를 구입하시는것도

    좋겠지만 조금만 찾아보시면 개인이 충분히 부품사서 할수있습니다~

  • ?
    쏘리맨 2013.03.25 14:40

    현재 ssd를 레이드 시켜서 사용하고는 있습니다. 프리미어가 하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면. 지금 제컴의 문제가 다른 부분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술독 2013.03.25 16:59

    혹시 편집데이터(영상원본)를 ssd레이드 안에다 안넣고 다른 드라이브에 넣고 이용하시는건 아니시죠? ^^; 

    아님 ssd레이드가 2개로 비교적 적게 되있거나, ssd중 하나가 지속적인 프리징이 발생되는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전에 하드하나의 문제로 제속도를 못냈었던 경우가 있었거든요

    저도 추측뿐이니 한번 as받아보시는게 어떨까 생각이 듭니다.

  • profile
    테세락 2013.03.25 18:12

    지포스 680이나 690쓰세요 속도 확실히 차이납니다.

    일단 마음이 편해져요.

    SLI는 시포디가 지원하는지 알아보고 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저는 안하는걸로 알고 있어서요

    어차피 2560이면 튜얼링크인데 그럼 680정도되는걸로해야 듀얼로 2560사이즈를 쏴줄수 있으니까요

    두개 하시는것도 괜찮지만 SLI지원안하면 헛방이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