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복사 | 조회 수 565 추천 수 0 댓글 6
Atachment
첨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스탭이펙터 타임옵셋 적용과 관련하여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조인트를 만들고 스플라인에 바인드 하여 로프트 넙스 시킨 후 조인트에 키를 주었습니다.

 

이를 클로너로 복제하여 스탭이펙터의 타임옵셋 옵션을 주었는데 중간에 끊기는 상황이 발생 합니다.

 

조인트 자체는 스탭이펙터가 먹었으나 로프트넙스 혹은 바인드된 스플라인에서 먹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해결하는 방법이 있을까 싶어 이것저것 테스트 해봤는데 명확한 답이 안나와 질문 드립니다.

 

12에서 작업하다 버전 오류인가 싶어 13도 구해서 깔아봤는데 안되네요;

 

첨부 파일의

 

왼쪽 큐브 두 줄은 일반 오브젝트에 키를 줘서 하이어라키 시킨 것이고 (오브젝트 늘려도 잘 됨)

 

가운데는 질문 드리는 요점인 이상하게 안먹는 부분.

 

오른쪽은 이것저것 해보다가 마지막 프레임에 키를 주니 얼추 비슷한 효과가 나오긴 하지만 역시나 어거지성 짙은 꼼수.. 입니다.

 

 Untitled-2.jpg

 

 

.. 뭐 중요한 작업을 한다거나 하는건 아니구요;; 그냥 심심해서 해봤는데 계속 안되서 답답해서 질문 드립니다요

  • profile

    Step_Effector_Invert.PNG


    Step Effector의 Falloff 탭에서 Invert 옵션을 체크해 주시면 됩니다.

    Help에도 정보가 나와있지 않아서 정확하게 어떤 이유에서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 문제는 이펙터의 '영향력' 문제이므로 Falloff에서 해결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c4d 파일 첨부합니다.


    정정합니다. 다시 살펴보니 이게 답이 될 수 없더군요. 원하시는 건 Step이 적용된 애니메이션 표현인데

    제가 길을 잃었네요. 테스트 결과 Invert 옵션은 Step Effector를 적용하지 않은 것과 결과가 같습니다.

    동시에 Falloff의 Weight를 0으로 떨어뜨린 결과와도 같네요. 이펙터의 Spline 그래프를 수평으로 맞춘 것과도 같고요.

    (이름만 보면 '반전기능'인 것 같은데 언제 사용하는 건지 잘 모르겠네요.)


    다양한 시도를 해봤는데요. Spline의 보간법 ,Joint, Bind방법, Weight, 이펙터의 파라미터 문제도 아니어서 마지막으로 Falloff의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이것도 아닌가 봅니다. 이펙터의 Weight 수치를 조절하고 동시에 Spline 그래프를 변경해봐도 소용없고 이펙터의 shape을 기본도형으로 변경해서 아래 위로 움직이는 키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봐도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되진 않네요.

  • profile

    Max.Min.PNG


    오브젝트의 마지막 모습이 스텝이펙터의 영향을 받아도 최소한으로 변형될 수 있게 Top뷰에서 확인하면서

    스텝이펙터의 Max/Min 값을 100% -200%로 잡아주고 Strength를 30%로 약하게 수정했습니다. 


    스케일 애니메이션은 Plaint Effector를 이용해서 만들었지만 Strength 수치를 올리면 스텝이펙터의 수치를 애써 

    조절해준 게 도로묵이 되네요. 그래서 최적값으로 설정한 후 비활성화 했습니다. 

    완벽한 답변은 아니지만 R&D 작업물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파일 재첨부합니다.

  • ?
    갑팅 2012.03.09 10:54

    감사합니다 ㅠㅠ

  • ?
    스펜서 2012.03.09 13:37 채택

    이 부분 버그로 생각되어 본사측에 요청해둔 상태입니다.

     

    현재로서 간단히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1. 클로너 오브젝트를 하나 만들어서 복제수를 '1'로 합니다.

    2. 조인트가 적용된 오브젝트들을 클로너에 적용시킵니다.

    3. 1번에서 만든 클로너 오브젝트를 기존의 클로너 오브젝트에 적용시킵니다.

     

    그러면 제대로 적용되는데 왜그런지는 저도 잘...긁적..

  • profile
    빡갱 2012.03.09 16:27

    오. 유용한 질문이네요. 저도 왜 이러나 해서 유심히 봤는데. 잘 모르겠네요;; ㅎㅎ;;

    마지막 키프레임을 지나게 되면 이펙터가 적용이 안되는것 같아 보였는데

    마지막에 키를 주신게 작동되는것도 키를 스플라인이 아닌 리니어로 주시면 같은 문제가 발생하더라구요;

    마지막에 키를 주어도 리니어타입은 소용이 없고 스플라인은 마지막 키프레임까지 오브젝트가 미세하게 움직이게되어 얼추 적용되는것 처럼 보이는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이펙터가 적용된 오브젝트 그룹의 어떤 요소가 계속 움직여야 하는것 같더라구요.

    가령 첨부하신 파일의 스플라인에 바이브레이트 태그를 넣어주어서 계속 움직이게 하면 잘 되는것 처럼 보이기도 합니다만.

    역시 왜그러는지는 모르겠습니다;;ㅎ;;

    스펜서님 말씀대로 모그라프 오브젝트 - 클로너(프렉쳐에도) 에 넣으니 잘 되네요!

    감사합니다.^-^

  • ?
    갑팅 2012.03.09 19:53

    감사합니다 ㅠㅠ 버그로 추측 된다니 다행(?) 이네요 !!  은근히 하이어라키 구조를 좀 변형하면 해결 되는 경우가 많으네요!!

     

    거듭 감사드립니다!


질문과 답변

question and answe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일반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그래바 2020.09.03 46603
공지 Octane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file 이효원 2020.04.19 75576
공지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file 권오훈 2019.06.27 34403
공지 일반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권오훈 2019.06.27 28651
10404 RealFlow 리얼플로우 홈페이지에서 시네마 플러그인 다운받는법 6 어지러움 2012.03.09 1096
10403 MoGraph cloner object안에 물체를 생성후 rigid를 적용시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4 기태 2012.03.08 453
10402 텍스쳐 시포디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HDRI를 이미지로 뽑고싶어요 3 망고냥 2012.03.08 972
10401 Dynamics rigid boy 먹인 오브젝트가 멀리 날아갑니다 5 file 너머야 2012.03.08 1022
10400 텍스쳐 메타볼 적용 후 멀티쉐이더로 한 맵핑이 안 보입니다. 깊은바다속 2012.03.08 370
10399 시뮬레이션 모델링하고 그룹지어서 rigid body를 줬는데요 그냥 통과해 버리네요 2 제팟 2012.03.08 1347
» MoGraph step effector, time offset 적용시 오류? 문제 질문입니다 6 file 갑팅 2012.03.08 565
10397 오브젝트 별로 그림자를 따로 뽑는 방법이 알고 싶습니다. 4 file 너머야 2012.03.08 725
10396 원치 않는 그림자가 생깁니다.. 3 file 너머야 2012.03.08 443
10395 그 외 에디터 메뉴바 2 file 태양의신 2012.03.08 637
10394 넷렌더 사용시 씬끼리 텍스쳐 파일 공유하기 3 꽃샘바람 2012.03.07 317
10393 기타 스위치레이아웃에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1 서연이아빠 2012.03.07 368
10392 어드밴스드 랜더러와 GI (설치시) 1 콩두유 2012.03.07 425
10391 텍스쳐 클론을 사용한 개체에 각각의 색상을 지정하는 법 질문하옵니다. 3 file 푸시딘 2012.03.07 623
10390 MoGraph Fracture로 clone ofbject내부 sweep nurbs로 이루어진 객체 제어문제요~ 13 file 기태 2012.03.07 8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66 1167 1168 1169 1170 1171 1172 1173 1174 1175 ... 1864 Next
/ 1864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