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집집마다 3D프린터를..

by 존재와당위 posted Jun 16,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나만의 신발·열쇠를 집에서 직접 만들어 쓴다?’
일반적인 프린터는 종이에 글자를 인쇄하고 사진을 출력해주는 기계장치다. 그런데 최근에는 컴퓨터에서 그린 3D(3차원) 모형을 실제 만질 수 있는 물체로 뽑아내는 ‘3D 프린터’가 각광받고 있다.

예 전에는 높은 가격과 커다란 덩치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이 구매하기는 힘들었다. 요즘은 가격을 1000~2000달러 수준으로 낮춘 보급형 3D 프린터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일반 가정에 두고 쓸 정도로 크기도 작아지고 있다. 집집마다 3D 프린터를 한 대씩 두고 사용하는 시대가 다가왔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내 맘대로 찍어내는 3차원 입체 프린터 시대

3D 프린터의 역사는 20년이 넘는다. 자동차·항공회사는 자사가 개발하는 신제품 모형을 만들어 실험해보기 위해 3D 프린터를 활용해왔다.

원 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에서 3D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설계 데이터를 3D 프린터로 전송한다. 3D 프린터에는 잉크 대신 금속·고무·플라스틱 같은 원재료가 들어 있다. 설계도에 맞게 이 재료들을 층층이 쌓아나가면서 실제 물체처럼 입체감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 바로 3D프린터다. 아직까지 음식재료를 배합해 음식을 만들어 주는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오스트리아의 빈 공과대학 연구팀은 최근 무게가 1.5㎏에 불과한 3D 프린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3D 프린터는 작업의 정밀함이 떨어졌지만 이 제품은 0.05㎜ 두께까지 그대로 찍어낼 수 있다. 가격은 1750달러(약 190만원) 수준이다.
3D 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는 입체모형을 설계해주는 오토데스크의 3D 소프트웨어 '123D'/오토데스크 제공

지금까지는 3D 프린터 시장을 중소업체들이 주도해왔지만, 미래 시장을 보고 글로벌 기업들도 하나둘씩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세계 최대의 프린터 회사인 미국 HP는 작년 1월 스트래터시스(Stratasys)라는 회사와 계약을 맺고 HP 브랜드를 단 3D 프린터를 내놓았다. HP 관계자는 “현재 북미·유럽 시장에 3D 프린터 제품을 내놓고 있다”며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내년 하반기에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오토캐드’라는 정밀설계 소프트웨어로 유명한 오토데스크는 최근 3D 프린터를 지원하는 ‘123D’라는 PC용 무료 프로그램을 내놓았다. 윈도 운영체제(OS)가 깔린 PC에 설치하면 설계 프로그램에 익숙지 않은 초보자라도 평면에 그림을 그리듯 입체적으로 자신이 그리고 싶은 모형을 표현할 수 있다. PC로 설계를 한 뒤 프린트 버튼을 누르면 입체 모형이 나오는 원리다.

◆HP 등 글로벌 기업도 속속 진출

CNN 머니는 앞으로 3D 프린터가 가정과 기업의 필수 액세서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 이유로 가격이 급속히 떨어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구입부담이 줄었다는 점을 꼽았다. 의사가 연구용으로 직접 인공 장기를 찍어내고, 요리사는 자신의 요리법을 시험해볼 수 있는 세상이 머지않았다.

최근에는 ‘컨티넘 패션’이라는 회사가 나일론 소재의 비키니를 3D 프린터로 만들어내 화제를 모았다. IT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의류산업에도 큰 변화가 올 수 있다면서, 마법과 같은 3D 프린터 기술을 통해 고객이 직접 갖고 싶은 의상을 만드는 시대라고 표현했다.

오토데스크의 3D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만든 자동차 모형./오토데스크 제공
다양한 산업과 개인 고객들의 수요가 늘면서 3D 프린터 시장규모는 급속히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컨설팅회사인 홀러스 어소시에이츠는 3D 프린터 시장이 지난해 13억달러(1조4000억원)에서 오는 2020년에는 52억달러(5조6000억원)로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3D 프린터 제조사인 미국 3D시스템스의 라지브 쿨카니(Kulkarni) 부사장은 “5년 전 2만5000~5만달러 하던 3D 프린터가 지금은 1000달러(약 108만원) 정도까지 가격이 떨어졌다”며 “일반 소비자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 일부 가정에서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물건을 만들어내고 있다.

유명 IT전문매체 ‘와이어드’의 크리스 앤더슨 편집장은 “3D 프린터 보급이 활성화되면 개인도 얼마든지 상상력을 발휘해 신선한 아이디어의 제품을 집에서 만들어 쓰고 시장에 내다 팔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1인 기업의 등장을 예고하는 것이며, 전통적인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대기업에 위협적인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