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930 추천 수 0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현장실습                         2 4   4 2 4   4
새내기 전공세미나 2 2 2                           2 2 2  
디자인개론 2 2 2                           2 2 2  
컴퓨터모델링                    2 3 1 2                         2 3 1 2
3D애니메이션                 2 3 1 2         2 3 1 2
편집디자인                 2 3 1 2         2 3 1 2
광고디자인                         2 3 1 2 2 3 1 2
전공
선택
소묘 2 3 1 2                         2 3 1 2
그래픽디자인 2 3 1 2                         2 3 1 2
웹언어(1) 2 3 1 2                         2 3 1 2
컴퓨터기초실기(1) 2 3 1 2                         2 3 1 2
컴퓨터표현기법(1) 2 3 1 2                         2 3 1 2
컴퓨터모델링(2)         2 3 1 2                 2 3 1 2
웹언어(2)         2 3 1 2                 2 3 1 2
컴퓨터기초실기(2)         2 3 1 2                 2 3 1 2
컴퓨터표현기법(2)         2 3 1 2                 2 3 1 2
공업디자인         2 3 1 2                 2 3 1 2
DTP         2 3 1 2                 2 3 1 2
컴퓨터일러스트레이션         2 3 1 2                 2 3 1 2
영상학개론         2 2 2                   2 2 2  
프리젠테이션기법                 2 2 2           2 2 2  
캐릭터디자인                 2 3 1 2         2 3 1 2
디지털영상편집                 2 3 1 2         2 3 1 2
광고론                 2 2 2           2 2 2  
졸업작품연구(1)                 2 3 1 2         2 3 1 2
프로젝트(1)                 2 4   4         2 4   4
웹디자인(1)                 2 3 1 2         2 3 1 2
웹애니메이션(1)                 2 3 1 2         2 3 1 2
웹애니메이션(2)                         2 3 1 2 2 3 1 2
편집디자인(2)                         2 3 1 2 2 3 1 2
3D애니메이션(2)                         2 3 1 2 2 3 1 2
포트폴리오제작론                         2 2 2   2 2 2  
졸업작품연구(2)                         2 3 1 2 2 3 1 2
프로젝트(2)                         2 4   4 2 4   4
웹디자인(2)

 

 

이번에 전문대 영상디자인학과에 25의 나이로 입학하게된 사람입니다. 디자인으로 진로를 정한후

현직 광고디자이너와 대화를 통해 알게 된게  C4D에 대한 중요성입니다.

 

우선 전 '이제석'씨의 광고디자인을 보고 나도 하고싶다라는 꿈을 갖게 되었는데요, 그분의 커리를 따라가기엔 

현실은 녹록치 않더군요. '이제석'씨 같은경우 기술적인 측면보다 아이디어적인 측면으로 승부를 보는사람인데

우리나라의 현실상 아이디어적인 측면으로 승부보기엔 생계를 생각하지 않을수 없다는 것...

 

디자인의 '디'자도 모르는 생초보고 어줍잖에 주워들은 꺼리 들로 리스트를 작성해보았습니다.

한마디씩 코맨트 부탁드리겠습니다^^

 

0.우선 저의 위치는 포토샵 사진 사이즈 조정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1. 향후 10년을 내다본다면 광고디자인에서 모션그래퍼의 경쟁력은 어느정도일까요?

2.모션 그래퍼를 목적으로 학교 2년동안의 공부 포커스를 맞추려고 합니다. 제가 기를 쓰고 해야하는 분야는 어느 부분인가요?

3.수학같은경우 기초가 정말 중요합니다. 1등급과 2등급차이는 응용 문제에서 난이도 조절합니다.응용문제는 여러 단원의 개념들이 섞여서 만들어 집니다.

이렇든 수학은 1등급으로 가기 위해선 개념들을 소홀히 하면 안됩니다.9등급에서 2등급까지는 빨리 되지만 2등급에서 1등급되기엔 엄청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디자인이라는 분야는 제게 생소한 분야입니다. 눈팅하고 기를 쓰고 알아보지만 한계가 있네요

어느수준까지의 기술력에 도달하기 위해서 실무에 필요한 것들만 속성으로 배우는것이 나은것인지, 학원을 수강하고 독학으로 차근차근 배워 나가야 할 지..1등급을 바라보며..

4.유학도 고려해 보고 있습니다. 돈이 여유있는 것은 아니지만 오랜 고민끝에 디자인으로 결정 한 것이라 결정되면 뼈를 묻는다는 각오로 할 생각입니다.

5.모션 그래퍼 외에 향후 전망좋은 기술을 보유한 직종은 무엇이 있을까요?

6.C4D의 경우 유학을 하면 취업하는데 유리하다라는 얘기를 들었습니다.물론 스펙과,아무래야 똥밭에서 굴러도 한국에서 하는 것보단 낫겠지만,

어느정도는 독일 교재를 사서 본다든지 하여 한국에서 혼자서 해보는 것도 기술적인 면에서는 어느수준까지 할 수있지 않을까요?독일 유학의 취업 메리트를 생각하면 GG~


7.포토샵의 응용분야는 엄청 넓다고 들었습니다. 만약 향후 5년후 모션그래픽의 입지가 좁아져 다른 분야로 수정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면
포토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까요?

8. 유학하기에 영어권인 나라가 있을까요?

질문의 범주가 무척 넓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책상앞에서 눈팅으로만 접한 사람인것 양해 부탁드리구요.
짧은 코멘트라도 해주시면 그것을 디딤돌로  구글링 해볼수 있으니 한마디씩 조언 부탁드립니다..^^

  • profile
    혁이 2010.12.30 10:19
    포토샵은 그냥 기본입니다 ^^;;; 어느 디자인 직종을 가시더라도 포토샵은 중, 상위클래스까지는 기본으로 숙지 하셔야 할겁니다.
    디자이너가 되고 싶으신건지...기술적인 엔지니어가 되고싶으신건지...질문의 내용으로는 엔지니어에 대한 질문만 많군요..
    모션도 디자인입니다. 기술만 배운다고 되지는 않습니다. 모션에도 리듬과 느낌 레이아웃이 존재하고,
    그것들이 기본으로 되었을때 기술이 접목 되는거죠. 그래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면 도구가 있어야 겠지요.
    학원을 등록하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제 친구가 요근래 학원을 다니는데 기술적인 부분을 가르치기보단 그 사람의 감성이나 느낌을
    끌어내는 수업을 많이 한다고 하더군요. 시포디를 배우고 싶으신거면 시포디 아케데미로..여타 모션을 배우고 싶으신거면..모션학원으로.
    제가 보기엔 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부터 습득 하시는게 순서가 아닐지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모션그래픽디자이너라고 해서 꼭 3D를 해야하는건 아닙니다. 표현의 한계를 좀 더 자유롭게 도와주는거죠.
  • ?
    녹차김 2010.12.30 10:58
    '포토샵'이 심혈을 기울어야 할 기초에 속하군요.
    죄송합니다 혁이님이 사용한 '디자이너'와 '기술적인 엔지니어'의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디자이너'라 함은 기획, 연출을 담당하는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맞나요?
  • profile
    길동 2010.12.30 11:07
    일단 섣불리 판단 마시고 학교 가셔서 한두학기 경험한 후 진로를 결정해서 준비 하시는것이 좋을 듯 합니다.
  • profile
    길동 2010.12.30 10:51
    드로잉은 되시나용~???
  • ?
    녹차김 2010.12.30 11:02
    죄송합니다. 말의 뜻도 모르는 수준입니다.
  • ?
    녹차김 2010.12.30 11:48
    도서관에가서 관련 책들 부터 훓어 봐야겠네요.
    우선은 포토샵 공부부터 시작하구요.

    한학기 다녀보고 좀더 경험을 확장한다음에 결정해야겠어요^^

    답변 감사합니다
  • ?
    타미 2010.12.30 12:54
    너무한꺼번에 모든걸 몰아서 하시다보면 오히려 질려버리실수도 있으니
    조금은 천천히 차근차근 준비하세요~
  • ?
    녹차김 2010.12.30 12:57
    네 명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엘라스틱마인드 2010.12.30 23:49
    0. 이건 누구나 처음 시작 할때는 그럽니다. 그래도 꾸준히 작업 하면서 모든 메뉴들을 조금씩 실험을 하면서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조금씩 꾸준히 한다는거 이게 어려운 겁니다. - 나중에 큰 자산과 조금씩 실험한 것 들이 모여서 노하우가 됩니다.

    1. 미래는 누구나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한 분야만 꾸준히 노력하면 시대의 흐름에 맞게 10년안에 2~3번의 기회는 옵니다.
    그리고 광고디자인과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는 다른 분야 입니다.

    광고디자인- 기획이고
    모션그래픽 -광고나 그어떤 영상작품이든지 하나의 요소 입니다. -  제작 이지요.
    직접 스튜디오를 하거나 그런 회사에 들어가면은 둘 다 하는 것 이고요.
    둘다 한다고 해도 기획은 윗사람이하니까 어쨋든 직접 경영하는게 아니면 제작만 하는거죠.
    우리나라에서는 제작보다는 기획에 더 힘이 실립니다. 제작이 어려울만큼 큰 프로젝트가 있기엔 너무 작은 나라라 ....

    2. 아이디어 도출 -> 그걸 표현해내는 기술
    이 두가지를 잘 해내면 더이상 바랄게 없습니다.
    누구나 이 두가지중에 하나가 모잘라서 어려움을 격는 거죠.

    3.필요하다고 생각하는것 먼저 하시면 됩니다. 너무 짧게 보지 마시고 10년안에 상위 몇프로에 든다 생각하시고 
    어짜피 평생 밤도 새가며 아이디어 짜내고 디자인 공부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즐겁게 생각 하면서 공부 해야 합니다.
    즐겁지 않고 멋있어서..혹은 다른 이유라면 말리고 싶구요.

    4. 유학은 지금의 나이로는 어렵다고 생각하구요. 유학은 저도 생각해 봤었는데 그 나라에서 오래 살지 않고서 그 나라 사람의 문화와 감성을
    터치하고 폭발 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하기에는 힘든 일이 많을 것입니다. 동료들보다 더 많이 생각해야하고 그 나라 문화를 알기위해서
    동료들이 디자인이나 기술분야에 더욱 매진할때 자신은 문화 배우기에 시간을 더 투자 해야 하니까요. 상위 직급에게도 어필할 기회가 적겠죠
    뭘 알아야 아이디어를 내니까요. 어렵긴 하지만 조금은 늦은 나이에 원하는 지위에 올라 서겠죠.

    기술만을 가지고 하는 기술감독(TD)이라면 죽여주는 퀼리티만 뽑아 내면 되니까 상관 없지만요.

    5. 위에 말한거와 같이 미래는 그 누구도 장담 할 수는 없죠.
    한가지 가능한건 4번에서 말한 사람의 감성은 변하지 않습니다.

    6. 모션그래픽에서의 기술은 전세계 사람들과의 교류에서 커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누구는 이런생각으로 이런기술을 만들고 구현하고 있다면 따라 해보기도 하고
    그 사람의 것 보다 더 쉽게 빠르게 만들어 보기도 하면서 노하우가 쌓이는 것이기 때문에 굳이 유학은 필요 없구요.
    이런 생각을 빨리 가진다는 것자체가 어려운거죠. - 내가 잘하기 위해서 뭘 해야 하나 분석을 해야 합니다.
    cgsociety.org같은 포럼과 유명한 모션그래픽 스튜디오들을 자주 들락날락 거리며 어떤 프로젝트를 어떤 방식으로
    풀어냈나를 보는게 좋습니다.

    7. 이렇게 생각하는 것 자체가 위험한 거에요.
    프로그램이 위주가 아니라 자신의 생각과 신념, 철학으로 똘똘 뭉쳐서 자신의 마음을 보호 해야 합니다.
    툴자체는 진짜 사소한 거에요. 누구나 몇개월이면 터특가능한 것이구요. 점점 쉬워 질거구요.
    자신이 몇개월에 걸쳐서 연구하고 작업해서 만든 툴을 프로그램제작사에서 똑같이 만들어 판다면
    이미 누구나 쉽게 몇백만원에 그 툴을 사서 쓰는거죠. 물론 그툴이 나오기 전까지 자신이 노력해서 만든 툴(작업 방식)을 이용해서
    이점을 얻을 수 있죠.
    쉽게 예를 들면 번역이 않된 최신의 책 또는 논문을 혼자 번역해서 어렵게 배웠는데
    몇년뒤에 번역본이 나와서 그 뒤 후배들은 쉽고 빠르고 몇만원으로 배울수 있는 거랑 같죠.
    툴을 하는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수 있는 이미지를 만드는 일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8. 모션그래픽은 캐나다, 미국, 영국 입니다. 각 나라 마다 스타일도 다르고 위에 말하것 처럼 문화를 알아야 하죠.
    유학해서 학생으로서 졸업할때 까지 어느정도 적으으하고 졸업 할테니까 많은 상관없겠죠.
    그뒤 정도 지나고 문화의 장벽으로 어느 정도 이상 올라가기가 힘든거죠.


    아무튼 가장 복잡 할때는 아무 생각 없이 자신이 좋아 하는 일을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으로 열심히 노력하는 겁니다.
    노력은 성공을 보장하진 못하지만 배신은 하지 않아요.
  • ?
    녹차김 2010.12.31 00:43

    답변 감사드립니다

    7번의 글을 읽다가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외국대학같은경우 특정교수의 지도를 받기 위해 그 교수에게 찾아가 장기적으로 지도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문화는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된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철학과 심리학을 하는데 이런식으로 했구요. 온라인 상이였지만요

    모션그래픽 분야의 대가들에게 찾아가서 지도받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개인은 찾아간들 해주지 않을 것 같구요 , 국내 대학의 유명한 교수가 있을까요?

    8번의 국내에서 취업에 대한 메리트의 관점으로 볼경우는 어떤가요?

    끝으로 , 내일 도서관 갈 예정입니다. 전반적으로 한 눈에 볼수 있는 '기술' 에 대한  입문서가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
    한승현 2010.12.31 10:34
    좋은 말씀들이 많이 오간 것 같습니다. 일단 디자인이라는 것, 디자인 감이라는 것이 제일 중요한 것 같습니다. 툴을 무엇을 사용하느냐보다 우선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어떤 사람도 재능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디자인을 좋아했습니다. 처음에 회사에 와서는 손으로 하는 렌더링 정도 밖에 못했었는데...좋은 디자인 감각, 재능이 있으니깐...나중엔 어느 누구보다 툴의 사용과 결과에 있어서 앞서 나가더군요. 툴, 환경 다 중요하지만, 디자인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부분에 대해서 스스로를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허접한 의견이었습니다.

자유게시판

Free Board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자유 옥테인구독자 KitBash3D 한달에 하나씩 무료로 다운받는방법 15 강우성 2022.01.07 10226
공지 자유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6 file 이효원 2020.04.19 9128
공지 자유 C4D 질답 게시판 검색 스크립트 19 file 에이제이 2020.03.05 8445
공지 자유 [글타래]3D입문자에게 하고싶은 이야기~ 25 4번타자마동팔 2012.09.07 419216
공지 공지 서로간에 상처가 되는 말은 자제를 부탁 드립니다. 13 file 최고관리자 2012.06.19 424613
공지 가입인사 가입양식 최고관리자 2012.06.15 13249
공지 공지 동영상 올릴때 주의 사항! (iframe방식만 사용) vimeo/유튜브 첨부시 코드사용 안내 7 file 정석 2011.09.29 398486
13418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2 핑크맛왕사탕 2010.12.31 310
13417 자유 새해엔 좋은일만 가득하세요^^ 3 까무잡잡 2010.12.31 1358
13416 5시간 30분 남았네요 :) 1 허뚜 2010.12.31 1436
13415 2010년 12월 마지막날입니다! 8 야라 2010.12.31 1475
13414 컴퓨터 속도야 당연히 계속 빨라지겠지만... 8 훈공 2010.12.31 1305
13413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시네마 사디 어제 설치하고 왕초보 시작합니다. 5 블리츠 2010.12.31 367
13412 아~~ 어려워,,,,,ㅡㅜ 3 구리구리 2010.12.31 1227
13411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5 무늬 2010.12.31 320
13410 모아이상의 비밀.jpg 12 file 슈퍼맨 2010.12.31 2185
13409 가입인사 가입인사합니다~ 4 민제이 2010.12.30 317
13408 자유 갑자기 든생각인데 전쟁이 난다면. 8 정호 2010.12.30 1582
13407 자유 오오+ㅁ+ 이런반응이! 15 에이치소울 2010.12.30 1716
13406 부산에두 눈이~~~ 9 file 온리원 2010.12.30 1290
13405 가입인사 가입했습니다... 3 방망이33 2010.12.30 327
13404 <예술가가 되자, 지금당장> 소설가 김영하씨 TED 강연 7 에이제이 2010.12.30 1439
13403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3 림메이드 2010.12.30 341
13402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2 케케 2010.12.30 296
13401 질문 또 드립니다. 15 녹차김 2010.12.30 1623
13400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2 램프온 2010.12.30 314
» 반갑습니다. C4D의 진로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1 녹차김 2010.12.30 19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 928 Next
/ 928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