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ple radius와 Bias의 이해

by 갈매기 posted Nov 24, 2010 Replies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그림자에 지글거림현상이 있어서 sample radius 와 Bias에 대해 알고싶은데요
값이 높을수록 또는 값이 높을수록 어떻게된다 는 설명을 듣고싶습니다~

각각 어떤역활을 하는지요?


  • ?
    엘라스틱마인드 2010.11.25 01:02
    헬프에 나와 있어요.

    샘플 반경 [1..20]

    샘플 반경은 그림자 맵의 정확도를 결정합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그림자는 더 정확하게 표현되지만 그만큼 렌더링 시간은 더 길어지게 됩니다. 만약 작은 그림자 맵 사이즈를 사용해야 할 경우라면 샘플 반경에 좀 더 높은 수치를 입력함으로써 그림자의 퀄리티를 향상시켜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쉐도우 맵에 사용되는 메모리 양을 절약하는 대신에 그만큼의 렌더 시간을 더 필요로 하게 됩니다.

    절대적 바이어스

    일반적으로 이 옵션은 사용 가능으로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 옵션이 선택 해제되어있는 경우에는 오브젝트에서 그림자까지의 거리는 광원에서 오브젝트까지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를 상대적 바이어스라고 합니다. 상대적 바이어스에서는 광원이 오브젝트에서 멀리 있을수록 그림자는 오브젝트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이 상대적 바이어스는 CINEMA 4D R5 때부터 사용되었던 것으로 현재는 구 버전의 파일을 임포트할 경우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 기능이 남아 있습니다.

    상대적 바이어스 [0..100%]
    절대적 바이어스 [0..10000000m]

    소프트 그림자의 경우에는 그림자의 시작 위치가 오브젝트의 뒤쪽으로 밀리는 타고난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차이를 그림자 바이어스라고 하는데, 대개의 경우 1m로 되어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바이어스 수치를 조정해서 그림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주 작은 오브젝트를 카메라의 줌을 이용해서 확대할 경우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오브젝트와 그림자의 거리가 뚜렸히 구분할 수 있을 정도가 됩니다. 이 경우 바이어스 수치를 낮춰줌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이 좀 더 자연스러운 그림자를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또한 간혹 매우 큰 오브젝트에 너무 작은 바이어스 수치가 적용된 경우에는 그림 3에서 볼 수 있듯이 오브젝트 자신에 그림자가 생기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바이어스 수치를 늘려주어야 합니다.

    작은 오브젝트를 카메라의 줌을 이용해서 확대하는 경우에는 작은 바이어스 값을 적용해 줘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브젝트와 그림자간의 갭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만약 오브젝트가 매우 큰 경우에는 원치 않는 그림자 부분이 오브젝트에 생길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바이어스 값을 좀 더 크게 잡아줌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m의 값은 대략 10,000m 정도의 폭을 가진 오브젝트에까지 적용 할 수 있습니다.

  • ?
    갈매기 2010.11.25 12:50
    아 감사합니다~헬프라면 시포디 프로그램을 켜서 Help에 있는부분 말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