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펙트는 비슷비슷하게 먹는 거 같은데, 어떤 차이인 지를 잘 모르겠어서요...
아시는 분 계시다면, 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일반 |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 그래바 | 2020.09.03 | 60417 |
공지 | Octane |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 |
이효원 | 2020.04.19 | 88255 |
공지 |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 |
권오훈 | 2019.06.27 | 43153 | |
공지 | 일반 |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 권오훈 | 2019.06.27 | 39321 |
쉐이더이펙터가 재질을 참조할 수 있을 때 확연하게 차이가 나겠죠.
웨이트를 조작하거나 감쇠를 통하지 않는한, 플레인이펙터만 쓸 경우 이펙트의 대상이 되는 클론들에 대해 어떤 기준에 따라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변화를 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쉐이더이펙터는 전달받은 재질의 특정 채널에 담긴 데이터를 기초로 클론들에게 서로 다른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포지션 스케일 로테이션에 컬러까지.... 그리고 이 컬러는 모그라프 컬러쉐이더가 받아올 수 있습니다.
아무튼 이런 것들은 플레인이펙터에서는 불가능한 일들입니다. 글로 쓰자니 좀 거시기하네요.
헬프파일 열어서 읽어보시고 직접 몇번 적용해보시면 될듯 하네요.
저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혹시 틀린 부분 있을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