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서 Shader Effector와 Random Effector를 함께 적용하는 예제가 있는데요.
두 이펙터효과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 없는 상태에서 마구잡이로 적용하려니까 갑갑하고 궁금해 죽겠습니다.
인터넷을 아무리 뒤져도 개념같은건 없네요.(너무 초보적인것이라 그런가?)
그리고 두 이펙터를 함께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꼭 답변 부탁드려요!
모그라프 공부하는 중이라 아는대로만 써볼께요.
큰 그림은 이런 식입니다. 모그라프메뉴를 보시면 그 안에 모그라프오브젝트, 모그라프디포머, 모그라프이펙터등이 있습니다. 모그라프이펙터는 (일반적으로) 모그라프오브젝트에 적용되어 모그라프오브젝트가 생성한 클론들에게 포지션 스케일 로테이션등등에 변화를 주는 기능을 합니다. 하지만 이펙터의 디포머탭에서 디포메이션 옵션을 off 에서 다른 것으로 바꿔주면 이펙터들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디포머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시험삼아 프리미티브 큐브를 하나 꺼내시고 랜덤이펙터의 디포머탭에서 디포메이션을 포인트로 바꾼 후에 큐브에 차일드시킨 후 랜덤모드를 터뷸런스로 두고 애니메이션 플레이버튼을 눌러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물론 포지션 스케일 로테이션을 변경하는 것 뿐만은 아닙니다. 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고 그외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녀석들도 있습니다. 세부적인 것들은 여러 자료들을 참고하시되, 제 경우 C4D 아카데미에서 수업을 듣고 있습니다만, 선생님께 지도받고서 헬프파일의 모그라프편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고나니 많이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씨포딕에는 예제가 많이 있고 메뉴설명도 있으니 그쪽도 참고하시구요..
말씀하신 쉐이더이펙터의 경우는 앞서 적어드린 큰 그림에서 별로 벗어나지는 않습니다. 쉐이더이펙터는 쉐이딩탭을 통해 하나의 매터리얼을 전달받고, 이 매터리얼의 특정 채널을 참조하여 그 채널에 포함된 데이터를 가지고 이펙터가 적용된 모그라프 오브젝트의 클론들에 대해 포지션 스케일 로테이션 및 컬러에 변화를 주는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헬프파일에 이런 설명이 있고 더 나아가 응용할 수 있는 방법도 적혀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쌩초보라서 답글 달기가 좀 뭐합니다만, 작성하면서 스스로 공부도 할 겸 해서 적었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일반 |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 그래바 | 2020.09.03 | 46911 |
공지 | Octane |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 |
이효원 | 2020.04.19 | 75820 |
공지 |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 |
권오훈 | 2019.06.27 | 34548 | |
공지 | 일반 |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 권오훈 | 2019.06.27 | 28894 |
모그라프의 이펙터는 대부분 모그라프 오브젝트에만 적용이 가능합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쉐이더이펙터는 모그라프오브젝트를 모양 위치 등을 변형하는데 사용합니다 랜덤이펙터는 랜덤하게 변형시키죠
옵션은 힘의 값인 스트랭스 .. 그리고 파라미터 창에는 어떤걸 변화를 줄 것이냐를 선택하는 옵션들이 있고 이 들중에는 포지션 스케일 로테이션이 있습니다 또 모그라프의 힘의 값을 조절하는 스트랭쓰도 있지만 이 힘이 어떤 부분에 적용되느냐를 결정하는 폴오프 항목이 있고 폴오프도 여러가지 형태로 나뉩니다 ..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무한의 형태이고 나머지는 박스 스피어 실린더 등 많은 형태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렸지만 이외에도 알아야 할 세부 옵션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
때문에 모든 부분을 설명드리기엔 덧글, 답글로는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
여기서 판매하는 시포딕4 편을 구입하실 것을 적극 권장드립니다 ..
http://www.cinema4d.co.kr/dvd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