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해상도에서 렌더링 하여 큰 해상도의 이미지로 렌더링 하는 내용입니다.
이미지 렌더링과 동영상 렌더링에 모두 써먹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 렌더링과 동영상 렌더링에 모두 써먹을 수 있습니다.
| 첨부 '1' |
|---|
http://blog.naver.com/ex666/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많이 배워 갑니다.
감사합니다~
|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공지 | Advanced Render |
GI의 시대는 도래하는가..(GI 랜더러 비교)
16 |
.피. | 2011.06.20 | 4585 |
| 공지 | 모델링 연구 |
[아이디어 모집] 비누방울(거품, 거품막) 만들기
8 |
길동 | 2011.03.08 | 4350 |
| 80 | 기타 | Physically Based Rendering for Artists 1 | [길동] | 2015.07.04 | 732 |
| 79 | Advanced Render |
노 플리커를 위한 GI 랜더링 - 인테리어
|
하늘나무 | 2014.10.26 | 1573 |
| 78 | Advanced Render |
에어리어 라이팅과 발광체 비교
2 |
하늘나무 | 2014.10.23 | 1310 |
| 77 | V-ray |
브이레이 테스트파일
13 |
정호 | 2011.03.31 | 1566 |
| » | Advanced Render |
R11 뻥튀기 렌더링
38 |
초사 | 2008.10.28 | 3548 |
| 75 | V-ray |
vray buffer 적용하는 꼼수.
7 |
정호 | 2012.09.26 | 1598 |
| 74 | Advanced Render |
Linear workflow :: 하위 버젼 -> R12의 Linearworkflow를 쓰면서 프로젝트 변환법
45 |
엘라스틱마인드 | 2010.09.03 | 3030 |
| 73 | Advanced Render |
R11 Mograph + GI Rendering 지글거림 해결책
18 |
초사 | 2008.11.06 | 2312 |
| 72 | 렌더링 연구 | V-ray에 관한 짧은 Stuff 8 | .피. | 2012.06.21 | 1028 |
| 71 | Advanced Render |
R13 Physical Render - Lens Distortion Test [렌즈왜곡]
9 |
길동 | 2011.11.14 | 1600 |
| 70 | V-ray |
Vray 카메라 무빙 GI 애니메이션 셋팅 방법
8 |
초사 | 2009.01.05 | 3036 |
| 69 | Advanced Render |
어드밴스랜더 셋팅값인데요-_ -;;
19 |
키야홋 | 2008.03.20 | 1429 |
| 68 | FinalRender |
맥스웰테스트
4 |
이정호 | 2005.05.17 | 1464 |
| 67 | Advanced Render |
Advance랜더러로 Vray랜더러 이겨내기
51 |
달산 | 2009.09.09 | 2193 |
| 66 | 기타 |
SSS Skin에 대한 연구 [18금]
22 |
돗자리 길동~ | 2009.02.12 | 2468 |
| 65 | Advanced Render |
GI의 시대는 도래하는가..(GI 랜더러 비교)
13 |
.피. | 2011.06.20 | 1709 |
| 64 | FinalRender |
파이널렌더 튜토리얼 두번째입니다.
4 |
박씨 | 2007.12.25 | 739 |
| 63 | FinalRender |
Mini 파렌셋팅
6 |
버럭길동 | 2008.03.18 | 584 |
| 62 | Advanced Render |
실내인테리어 렌더링을 V-RAY느낌을 내고 싶어용~~
7 |
염소 | 2011.04.04 | 1006 |
| 61 | V-ray | V4D Basic Lighting 12 | 돌아온 길동 | 2008.10.21 | 1202 |
초사님께서 비기를 공개해 버리셨네요^^~
내용추가합니다.
GI : Full Animation모드의 경우 두배 이상일 경우 플리커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번에 박씨+판근작업때 확실하게 파악했습니다. 두배이상은 금물입니다.
스틸의 경우에 800*600 이상을 해줘야 큰사이즈에서 무리 없을 듯싶습니다.
640이하로는 계산의 한계치가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1. 애니메이션의 경우 최종 아웃풋은 1/2(물론 카메라 애니의 경우에는 더 작아도 됩니다.)
2. 스틸의 경우 1/3~1/4정도 비율의 사이즈가 안전모드라 생각됩니다.
위 방법은 파이널 렌더에서 자주 써먹던 방법이었는데 이번에 박씨+판근작업때 도입 결과는 매우 좋았습니다.
참고들 하세요~(100%정답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