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복사 | 조회 수 346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맥스 인터페이스에서 쳄버주고 스무스주는 모델링에 익숙해져서
시네마에서 모델링 할려니 손도 버벅되고 ㅋㅋ 자꾸 WER에 손이 간다는.......ㅋㅋㅋ
암튼 모델링 툴에 관해 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라이노 라는 것도 잇던데 제품쪽에 정확한 수치 모델링때 많이 쓰는건가요??
그리고 맥스에 파워넙스라는것이 잇던데 그런거 쓰기 보단
시네마 기본 모델링이 더 괜찮은가요??
막 공부 시작한 단계라 한가지 딱 정해서 거기에 익숙해 질려구요 ...^^
 
  • ?
    HongC 2007.11.16 10:51
    어떤 분야에서 시네마를 활용하실런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모델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기 손에 익혀지기 나름이고,
    기존 사용하던 툴에 따라, 다른 툴이 어렵나 쉽나의 접근성
    이 많이 결정되는거 같습니다.

    라이노는 오토캐드와 비슷한 명령어 입력방식-한손으로 명
    령어 입력, 한손으론 마우스 입력-과 툴이 가볍다는 점, 넙스
    방식을 지원한다는 점, 데이터 호환 등등의 문제로 처음 1,2
    버전때까지는 많이 호평받았었죠. 그리고, 제품할때에 정확한
    치수문제는...그 치수대로 가공하는 데이터 제작목적이외에
    조감도나 스틸컷으로 출력할때는 치수문제는 큰 의미를 찾기
    힘듭니다. (렌더링 할려는 각도에 따라 어느정도 이미지가
    왜곡되기 때문이죠)

    맥스는 전통적인 모델링 방식- 솔리드 모델링과 넙스 모델링-
    의 어느 것도 아닌 변형된 방식을 씁니다. 한마디로 가라죠.
    (그래서, 파워불린이니, 파워넙스니 하는 플러그인을 탑재하
    기도 했죠)

    어느분야에서 활용하실 지는 모르겠으나, 모델링에 이 정도로
    신경쓸 바엔, 차라리 라이팅과 매핑에 신경쓰신다면 퀄러티
    는 더 높아질겁니다. (울 나라 유저들은 유난히 모델링에 집
    착하는 거 많이 봤습니다. 매핑처리해도 될것을 굳이 모델링
    으로 처리하고, 거기에 지쳐서 나중엔 전체 분위기를 주도하
    는 라이팅처리는 엉망으로 하고, 결국엔 퀄러티가 떨어지는
    주범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유저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어떤 툴이든, 만들지 못하는 대상은 없습니다. 자신이 얼마나
    익숙해졌느냐와 작업프로세스의 이해가 작업속도에 영향을
    졸 뿐입니다.
  • profile
    byjin 2007.11.16 10:51
    시네마의 모델링방식은 맥스와 다를바 없습니다 적용하는 방식이 좀더 편할 뿐입니다..

    하이퍼넙스도 맥스의 파워넙스와 같은 방식일겁니다..

    처음에는 적응 안될 수도있지만.. 익숙해지면 속도도 빠른편입니다..

    단축키는 사용자가 맘대로 바꿀 수있으니 익숙한 것으로 바꿔 쓰셔도 되구요.. 저 같은 경우도 단축키 설정해서 씁니다...
  • profile
    이단비 2007.11.16 10:51
    유기체 모델링은 말할것도 없겟지만... 갤러리의 해외갤러리중 이가라시님의 작품을 보십시요..

    전부 시네마 모델링.. 버전 6때 만든것도 잇습니다..

    폴리곤 모델러 치고 파라메트릭 모델링도 지원하기 때문에 작업하긴 무척 좋은 편인거 같습니다.
  • ?
    욕심쟁이 2007.11.16 10:51
    아 활용 분야는 모션입니다
    그중에서도 oap로 취업하고자 해서 그리 인체 모델링이나 자연물 모델링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ㅋㅋ
    빨리 시네마에 익숙해져야 겟군요 ㅋㅋㅋ
    답변 감사합니다
  • ?
    HongC 2007.11.16 10:51
    모션쪽이라면...
    맥스는 안쓰죠.
    기본 렌더러가(스캔라인) 최악이니까요.

    (브이레이가 플러그인으로 제공된
    후 뜬 이유도 그것때문이었죠.
    그러나, 그 브이레이도 스틸컷엔
    좋지만 동영상쪽엔 약하다는...)

    시네마4디의 강력한 모그라프 기능은
    플래시를 대체할 정도.
  • ?
    P. 2007.11.16 10:51
    시네마가 모델링이 어렵다는 말은 처음들어봅니다. 저는 맥스로 모델링하면 메뉴찾아다니고..아주 머리터지고 FBS 게임한것처럼
    구역질이 나던데요..참고로 모델링만 놓고보면 Modo가 참 좋다고들 하시더군요..전 걍 시네마가 부족함이 없기에..애니메이션은 가라로 만들면 큰일나기때문에 차근차근 원칙대로 만들어나가기엔 뭐..필요한게 있을라나요? 뭘까요
  • ?
    한승현 2007.11.16 10:51
    저 같이 넙스모델링에 익숙한 사람의 경우에는. 개념이 잘 잡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모델링을 익혀보려고 해도. 라이노에서 이렇게 사용했는데..라는 생각으로 인해서...그 차이를 넘어서기가 쉽지 않습니다. 각각 용도에 맞게. 자신에게 편한 툴을 사용하는 것이 맞다는 생각입니다. 제가 시네마 모델링에 관심을 갖는 것은 하이퍼 넙스를 활용한 유기적인 모델링에 관심이 있어서 입니다.

질문과 답변

question and answe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일반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그래바 2020.09.03 18284
공지 Octane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updatefile 이효원 2020.04.19 48902
공지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file 권오훈 2019.06.27 12883
공지 일반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권오훈 2019.06.27 4817
24270 Character 케릭터 Bind 를 시키면 범위가 너무 크게 잡힙니다. 4 정보 2007.11.15 176
24269 모델링 스플라인으로 모델링할때 계단현상(?) 이라고 해야할까요..문제가 있습니다(패스파일 첨부) 10 file 매드카우 2007.11.15 375
24268 모델링 explode segments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15 5프로넘칠때 2007.11.15 482
24267 모델링 [re] 스플라인(임포트한 커브)을 바로 폴리곤화 할수는 없을까요[그림크게하였습니다] file 교의 2007.11.16 221
24266 모델링 [re] 스플라인(임포트한 커브)을 바로 폴리곤화 할수는 없을까요 2 교의 2007.11.15 182
24265 모델링 스플라인(임포트한 커브)을 바로 폴리곤화 할수는 없을까요 1 file 교의 2007.11.15 260
24264 Character [re] Chracter_Rigging 조금 더 궁금한게 있어서 한번더 질문드립니다.^^ 3 file 수옥 2007.11.16 182
24263 Character Chracter_Rigging 봐주세요^^ 6 file 수옥 2007.11.15 278
24262 기타 export를 scene에서 개별적으로 export 할수 있나요? 4 nest0210 2007.11.15 185
24261 모델링 [re] 스플라인+익스트루드 한 오브젝트를 볼록하게? 1 file 버럭길동 2007.11.15 173
24260 모델링 스플라인+익스트루드 한 오브젝트를 볼록하게? 4 file 양기벌레 2007.11.15 351
24259 뎁스 오브 필드를 적용하니 알파(투명도) 가 안 빠집니다! DOF 4 file 박동인 2007.11.15 315
24258 V-Ray vray spot 라이트 범위에 대해서 질문이요 1 file 햄토리 2007.11.15 295
24257 XPresso 간단한 xpresso노드가 전혀 먹히질 안습니다 2 마혀엉 2007.11.16 207
» 모델링 시네마가 모델링이 어려운 편인가요? 7 욕심쟁이 2007.11.16 3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 1771 Next
/ 1771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