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항생제 과다처방 병원명단 공개

by 길동 posted Feb 09,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보건복지부 항생제 과다처방 병원명단 공개

종합전문병원

서울아산병원(18.55%),
서울대병원(21.38%),
아주대병원(24.12%),
이대부속 목동병원(28.36%),
삼성서울병원(28.50%) 등이 항생제 저(低)처방 병원으로 드러났다.


한림대부속 춘천성심병원(79.92%),
원광대 부속병원(79.75%),
가톨릭대 성모병원((64.99%),
연대 원주의대원주 기독병원(64.58%),
계명대 동산병원(62.52%) 등은 항생제 처방이 많았다.

종합병원은 경기도 한성병원(4.81%), 서울 우리들병원(9.38%), 부산 일신기독병원(14.40%) 등이 낮은 반면 강원도 철원길병원(81.94%), 서울 제성병원(81.66%), 경남 동하한마음병원(80.76%)은 항생제 처방률이 80%를 넘겼다.


병원
대전 국군대전병원(0.70%),
울산 보람병원(2.69%),
전북 원광병원(3.88%)은 항생제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나

서울 한마음병원(90.85%),
경기도 나리병원(90.37%),
서울 해정병원(89.59%) 등은 90% 안팎의 항생제 사용률을 기록했다.

의원
일반의 : 부산 동성의원과 전남 후생의원 등은 항생제를 단 한건도 처방하지 않았으나
대전 서구의 성수의원(99.12%), 울산 남구 울산의원(98.48%) 등은 거의 대부분에서 항생제를 사용했다.

내과
경기도 일산라쥬네스 내과,
부산 김덕근 내과가 항생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반면
서울 영등포구 연세내과(98.60%),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푸른내과(98.26%) 등은 항생제 처방이 많았다.

이밖에
소아과와 이비인후과, 가정의학과 가운데
경남 윤재근 소아과(0.52%),
서울 송재원 소아과(1.39%),
대구 조영채 이비인후과(1.52%),
광주 구승룡 이비인후과(1.80%),
대전 김정현 가정의학과(0.37%),
서울가정의학과(1.46%) 등의 항생제 처방률이 낮았다.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연세소아과(99.05%),
서울 관악구 정택환 소아과(98.73%),
부산 연제구 김동원 이비인후과(99.25%),
부산 금정구 이만희 이비인후과(98.93%),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한사랑가정의학과(98.20%),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가의원(97.66%) 등은 높은 처방률을 보였다.


전체 항생제 평균 처방률로는 종합전문병원이 45.01%, 종합병원 48.15%, 병원 52.21%, 의원 61.79% 등으로 의료기관의 규모가 작을수록 항생제를 많이 사용했으나 전반적으로는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였다.

복지부와 심평원은 이와 함께 2002-2004년 전국 병.의원 가운데 급성상기도감염환자에 대해 항생제를 많이 처방한 4%의 의료기관과 적게 처방한 4%의 의료기관 명단도 함께 공개했다.

종합전문병원 중 항생제 저 처방 4%의 처방률은 22.32%-29.92%였고 고 처방 4% 의 처방률은 68.61%-78.51%였다. 종합병원은 12.49%-23.02%, 79.47%-82.88%, 병원은 5.54%-11.91%, 83.73%-87.19%, 의원은 2.41%-4.98%, 95.34%-96.72% 등의 분포를 기록했다.




병원도 로또인듯 잘 골라가야~~
의사들의 반발이 심하겠구랴~

Who's 길동

profile
우울함의 원천은 역시 통장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