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2890 추천 수 1 댓글 16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인터레이스 스캔(Interlace Scan)과 프로그레시브 스캔 (Progressive Scan) -디스플레이 스캔 메쏘드



머, 이말은 다들 아신다고?

자만하지 말라!

영상작업자인데 모르는 사람도 많이 봤고 

경력이 꽤 되시는 분인데 여기서 작업 실수 하시고 작업 날리는 분 많이 봤다.


프로그레시브는 다들 아실 것이다.

지금 보고 있는 컴퓨터 화면이 프로그레시브 스캔으로 보여지는 것이다.

모니터의 주사선이 있다고 치면 (그러니까 가로 픽셀의 집합) 1번 주사선부터 

마지막 주사선까지 순차적으로 이미지를 그려나가는 방식을 말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LCD 모니터가 60Hz 주파수를 가졌다고 하면..

1번 주사선 부터 마지막 주사선까지 순차적으로 그려나가는 1싸이클을 

1초에 60번을 완성시킨다는 말이다.


머 이정도야 사실 설명을 일부러 할 필요가 없는 정도다.

근데 사람을 괴롭히는 인터레이스 스캔이 있기 때문에 프로그레시브 스캔을 따로 설명하는 것이다.


과거 CRT에 의한 화면은 잔상 효과도 있었고 

TV 수상기 자체가 빠르게 화면을 그려내지 못했기 때문에 화면이 자연스럽지 못했다.

이를 궁여지책으로 해결하는 방식으로 나온 것이 인터레이스 스캔이다.


순차적으로 주사선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으로 띠어서 그림을 그리고 그 다음에 가서 

그다음 주사선을 역시 일정한 간격으로 띠어서 그림을 그리는 형식을 인터레이스 스캔이라고 한다.


가장 흔한 경우는 우리가 보는 TV 수상기로 짝수 홀수 주사선을 구분해서 스캔해서 그림을 완성한다.

말로하면 좀 어려운데..  다음 그림을 보기 바란다.   


scan-1.png

(이런 그림은 일일히 일러스트레이터 등으로 그려야겠지만.. 나는 뻔뻔하게도 파이널 컷 프로 매뉴얼에서 퍼온다.  ^^)


첫 필드에서 1번부터 시작해서 홀수에 있는 주사선을 그리고..

그 다음 필드에서 2번부터 시작해서 짝수에 있는 주사선을 그려서 완성시킨다.

1프레임만 보면 그전 프레임에서 시작한 주사선이 아직 남아있고 이번에 새로그린 주사선과 겹쳐서

한프레임을 완성시킨다.


일단 이것이 인터레이스 스캔이란 말의 단어 뜻이다.


실상은 좀 다른데..


NTSC 비디오 규격에서 인터레이스 비디오는 홀수선부터 그리지 않고 짝수선 부터 그린다.

짝수선에서 시작하냐 홀수선에서 시작하냐를 필드 도미넌스(Field Dominaces)라고 하는데...  

인터레이스 옵션에서 필드 도미넌스 세팅을 Lower 혹은 Even을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필드 도미넌스가 다를 때 필드 오더가 빗나갔다, 뒤짚혔다고 이야기한다.

(영어로는 리버스 오더나 디퍼런트 필드 도미넌스라고 하는 것 같다  ^^)


진정한 의미의 인터레이스 렌더링을 할 수 없는 툴에서 프레임을 자르는 위치에 따라서 

필드 오더가 뒤바뀌는 경우를 많이 당한다.

이 부분은 경험으로 알아야하는 문제로 

편집 과정 예를들면 프레임 블렌딩을 사용해서 가변프레임레이츠 기능을 사용했을 때

완성한 화면이 껌벅이게 된다.    


D1 규격(베타나 디지베타도)의 비디오와 DV 규격의 비디오를 혼합해서 편집을 할 경우에도 문제가 붉어지는데

필드 오더가 뒤바뀌는 경우를 당하게된다.

D1 규격은 486의 세로선을 사용하고 DV  규격은 480을 사용한다.  

이 두개의 비디오를 (0,0)으로 중앙 정렬을 하게되면...

두개의 비디오는 필드 오더가 일치하지 않는다.

(당연한 이야기인데. (0,0)으로 맞추어 놓으면

DV기준으로 D1 비디오는 위로 3픽셀과 아래로 3픽셀이 더크다.

그렇다면, Even으로 시작하는 필드 오더는 서로 일치 하지 않게 된다.

위로 짝수 픽셀이 남아야 서로 일치하게된다)


정리해보자.


1. 프로그레시브 스캔은 우리가 보는 컴퓨터 모니터, 극장용 영화등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소문자 p로 

세로 주사선 숫자 다음에 표시해서 비디오가 프로그레시브 스캔인지 표시한다.

720p - 세로 주사선 720선을 가지는 프로그레시브 HD 비디오라는 뜻이다.


2. 인터레이스 스캔은 TV 수상기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소문자 i로

세로 주사선 숫자 다음에 표시해서 비디오가 인터레이스 스캔인지 표시한다.

1080i -세로 주사선  1080선을 가지는 인터레이스 HD 비디오라는 뜻이다.


3. 인터레이스 비디오를 다룰 때 주의해야하는 것은 필드 도미넌스다.

보통은 홀수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짝수에서 시작한다.

홀수에서 시작한다면 필드 도미넌스가 Upper(Odd)가 되는 것이고

보통대로 짝수에서 시작한다면 Lower(Even)이 되는 것이다.


4. 서로 다른 크기의 비디오를 같은 프로젝트에서 다룰 때 필드 도미넌스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다면

필드가 빗나갈 가능성이 아주 높으므로 주의한다.

TV 수상기에서나 프리뷰에서 화면이 껌벅인다면 필드가 빗나간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럴 때는 비디오의 센터를 (0,-1)등으로 옮겨 주거나 필드 쉬프트 필터를 사용해서

필드를 뒤바꾸어 준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09.03.31 02:30
    다이어그램이나 오타들이 조금씩 수정되고 있다.  

    글들에 대해서 댓글로 오류 지적이나 질문을 받는다.   

    오류지적은 바로바로 본문에 반영하겠다.   ^^
    가치가 있는 오류지적과 질문은 소정의 선물(?) 증정하겠다.  기대하시라~~
  • profile
    머리긴혀기 2009.06.05 16:20
    저글에 오류가 있습니다.  
    다들 읽고 그냥 너머 가시네..    

    HD의 경우 인터레이스는 필드 도미넌스가 Upper(Odd)지요.
  • ?
    응자루 2009.07.18 17:16
    사족없이 깔끔한 글입니다. 기본 개념정리에 도움이 되는군요.
  • ?
    원한소리 2009.07.22 13:24
    아항~이런 차이가 있었군요..상세한 설명 감사드려요
  • ?
    포도씨 2009.12.01 03:02
    정말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profile
    봄박 2009.12.11 01:02
    역시 여러번 보면서 익혀야겟네요..
  • ?
    별곰 2010.03.12 13:33
    프로그레시브랑 인터레이스 정말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찌질이 2010.04.21 16:30
    저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타미 2010.05.10 14:50
    아 정말 궁금했었는데 이제야 여기서 보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 ?
    댕아 2010.07.10 16:03
    아.. 이런 거였군요..
    전 왜 720p 이런말이 그냥 해상도인줄 알았다는;;;;
    감사합니다 ^^
  • ?
    취미활동 2010.11.06 11:13
    전문가들은 당연한 용어가 초보에게는 아니라서.....역시 생소하기만 하네요. 1080i나 720p는 메뉴얼에서 가끔 본 것 같습니다.
    일반인이 접하는 분야는 아니라서 제 수준이 유저그룹 회원중에서도 쌩 초보라는 것을 알게 하는 글이네요.^^;;
  • ?
    라잇업 2010.11.10 19:40
    잘봤습니당~ 이해가 잘 되네요 ^^   
  • ?
    송알 2010.12.11 19:28
    예전에 간략하게 배운것을 확실하게 정리하게 해주네요..멋쟁이
  • ?
    종현 2011.11.30 12:54

    감사합니다~! 그냥 대강 알고 있던 부분이었는데

    좀더 개념이 잡혔습니다 ㅎㅎ

  • profile
    테세락 2012.02.28 15:39

    아.... 완전 몰랐던 내용이네요


    정보 완전 감사합니다. ㅎ

  • profile
    붓꽃 2012.10.05 09:54

    이해가 쏙쏙 되는 글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