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복사 | 조회 수 395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안녕하세요. 카리닷컴입니다.

시네마포디를 알게된지 2년이 된 지금.

기초없이 튜터리얼을 보면서 시작하다 다시 처음으로 갔다가 왔다리 갔다리를 하다보니 어느덧 2년이 됐군요.

덕분에 많은 작품을 손쉽고 빠르고 멋있게 만들수 있었습니다.


모델링은 할수록 는다는 말처럼, 모델링 공부를 다시 꾸준히 시작하는 와중 질문이 생겼습니다.


모델링 방식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제가 아는 방식으로는 제목처럼 3가지로 크게 나눌수 있더군요(사실 정확한 명칭을 모르겠어서 임의로 제가 지었습니다.)


예전 정모때 정석님의 모델링 강의를 보고 Sub-D방식의 모델링 튜터리얼을 보면서 공부하고,

또다른 방식은 큐브에서 시작해서 bevel을 이용하는 방식도있고,

Create polygon으로 자동차 모델링 하는 방식등 다양한 방식이 있더라구요.


다 섞어서 쓰이긴 하지만, 혹시 몇가지 조언같은게 있다면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마우스를 모델링해야하는 경우는 큐브에서 깍아 하이퍼넙스 방식으로 하는게 좋다거나

오히려 Create Polygon으로 모양을 잡고 만드는 방식으로 한다는지.


어느모델링이 좋은 모델링이라는것인지도 알고 싶습니다.(Sub-D방식은 모델링이 엄청 깔끔하고 하이퍼넙스 서브디비전 값을 조절하여 무게를 조정할수 있어서 좋지만, 사실 모델링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더군요.)


상황에 맞게 좋은 모델링을 택하는 것이 답이겠지만,

상황별로의 경험을 듣고 싶습니다.


질문을쓰다보니 무슨질문인지; 저조차 헷갈리지만 모델링에 대한 자유로운 조언 듣고 싶습니다.

  • profile
    달사람 2013.12.17 00:04

    제 경우엔 굳이 나누자면 큰 덩어리를 깎아 나가느냐, 살을 붙여 나가느냐 정도로 결정을 하고 모델링을 시작합니다.


    자동차나 신발 등, 흐름이 중요한 것은 큰 덩어리로 형태감을 잡아준 후에 파트별로 리토폴로지 작업을 하고


    단순한 모양의 경우엔 적당한 프리머티브 오브젝트를 익스트루드 등으로 뽑아내어가며 비율을 맞춘 후에 디테일 작업을 하네요.


    서브디비젼은 특별히 씬이 무겁지 않을땐 거의 반사적으로 사용을 합니다. 전 방식이라기 보단 옵션 개념입니다.


    모션그래픽 작업을 주로 하기에 퀄리티 대비 속도 단축에 용이하더군요..




    모델링의 시작의 경우엔 위에 얘기한 두가지 선택지가 생기지만, 두 경우 다 어느정도 모델링이 진행되면 


    결국 나이프와 익스트루드, 웰드, 멜트 등을 이용한 면 정리 싸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특이한 형태를 가진 녀석을 만들 때 프리머티브, 레이스, 익스트루드, 로프트, 스윕넙스, 모그라프, 모디파이어들 중에서 


    어떤게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지에 대한 고민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브디비젼을 이용한 모델링이 오래걸린다는 말씀에는 동의하기 힘듭니다. (15 버젼부터 하이퍼넙스가 서브디비젼 서페이스로 용어 변경되었습니다. 이것 말씀하시는게 맞나 모르겠네요.)



    좋은 모델링은 용도와 형태에 맞는 흐름을 가진, 가능한 적은 수의 폴리곤으로, 필요한 퀄리티를 가진 녀석이라고 생각되네요.


    좋은 모델링 방법은 작업하는 디자이너에게 익숙하고 빠른게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뭘 만들어도 방법은 꽤 많습니다.


    유투브에서 자연물과 인공물 토폴로지 이미지, 제작 동영상 등을 참고하시는 것도 큰 도움이 될테고


    모델링 하기 전에 대상을 그려보는것도 시간 단축에 좋은 효과가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질문 자체가 방대하여 모델링 방법에 대해 두리뭉실하게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이므로 정론이 아닐 수 있습니다.


    고수분들의 모델링 방식이 아래에 많이 달릴테니 저도 좀 배워야겠습니다:)




  • profile
    카리닷컴 2013.12.17 01:04

    감사합니다 긴글 읽고 또 읽었습니다 ㅋ

    모델링을 많은 방법으로 해보고 좋은 방법을 찾아보면서 하나씩 궁금한거 올리면서

    연습해야겠습니다.


    하나 궁금한거는 제품디자인을 하는 사람들은 라이노로 작업을 전부하던데,

    라이노의 경우는 어느방식으로 모델링한다고 볼수있나요?


    또하나 답변중에 궁금한거는

     리토폴로지라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긴답글 감사드립니다꾸벅!


질문과 답변

question and answe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일반 Cinema 4D Education 학생용 라이센스 사용방법 2 그래바 2020.09.03 18284
공지 Octane 옥테인 크래시 관련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과 해결하는 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6 updatefile 이효원 2020.04.19 48902
공지 [필독] 단톡방 질문 방식 관련 공지사항 4 file 권오훈 2019.06.27 12882
공지 일반 [필독] 질문 게시판 유의사항 ! 권오훈 2019.06.27 4817
937 모델링 subdivision모델링할때 삼각형면에 관한 질문입니다.^^ 2 file 씨포디잘하구시포요 2018.03.05 908
936 모델링 subdivision, volume, remesh 모델링 차이 질문 2 EastLaw 2022.08.11 268
935 모델링 Subdivision 적용할 때 추가생성되는 '선' 질문있습니다. 3 file 코혀기 2016.12.22 312
934 모델링 완료 subdivision 적용시에 울렁임 2 file 몬트 2023.12.10 59
933 모델링 100 subdivision 문제 도와주세요 2 file 혜짱 2024.02.18 89
932 모델링 Subdivision 모델링 날카로운 선이 보여요 3 file 익셈 2022.05.16 231
931 모델링 subdivision surface를 적용시키니까 이어진 면이 끊어집니다 ㅜㅜ 2 file 캐모 2017.09.09 703
930 모델링 Subdivision Surface를 이용해서 각진 글자 만들기 3 file 넘버원 2014.08.21 576
929 모델링 subdivision surface 질문있습니다 4 file 찡코짱 2018.10.14 1620
928 모델링 Subdivision Surface 적용한상태로 헤어 적용 킬덕 2016.01.28 209
927 모델링 subdivision surface 적용하고 점선면 기준으로 효과 강도 조절하는 단축키가 기억이 안나요 1 마인클로버 2021.03.17 250
926 모델링 Subdivision Surface 사용시 밑에 하위 오브젝트중에 골라서 적용시킬 수 있을가요. 2 file 공민 2021.07.26 159
925 모델링 subdivision modeling.. 4 file 갱슬 2023.01.18 229
924 모델링 subdivide로 면이 둥글게 되지 않는데요..매끄러운형태로 면의 수를 늘리려면..? 7 file aimHIGH 2008.08.14 751
923 모델링 Subdivide(섭디) 모델링시 셀렉션 질문입니다. 2 file 장현진 2009.11.30 715
922 모델링 Subdivide 질문 2 file 피칸 2018.02.21 233
» 모델링 Sub-d VS create polygon VS bevel Modeling의 선택은?! 2 카리닷컴 2013.12.16 395
920 모델링 Structure> Connect 명령어에 대해서 7 file 블랙몽크75 2009.10.27 350
919 모델링 structure 패널의 슬라이드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1 돌연변이박 2008.12.12 216
918 모델링 Stl 확장자가 임포트가 안되서 도움 부탁드릴게요! 1 제우스 2017.10.31 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222 Next
/ 222
닫기

마이페이지

로그인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