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기술용어
2011.06.09 15:27

크로마 서브샘플링

조회 수 4843 추천 수 1 댓글 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크로마 서브 샘플링


서브샘플링이라는 말 자체는 원래 이미지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보다

낮은 해상도로 이미지를 구성해 놓는 것을 뜻한다.


400x400 이미지로 표시되는데...

내부적으로 200x200으로 저장해 놓는 식이다.


동영상이나 캠코더 촬영 이야기를 할 때 서브샘플링에 대한 단어는 심심치 않게 나타난다.

서브샘플링이라는 말은 안나타날지 모르지만 4로 시작하는 3자리 숫자는 참 많이 보게된다.

예를들면 

카메라는 422인데 녹화는 420이다.

영화니까 444를 써야한다.

방송표준은 422다.


이 단어와 숫자들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걸 설명하기 위해서 아래에 루마와 크로마에대한 글을 먼저 썼고..

정리하자면 루마는 빛의 밝기 정보로 흑백 사진을 생각하면 되고..

컬러에서 루마 값을 뺀 순수한 컬러에 대한 정보가 크로마다.

YUV 컬러 체계에서 Y가 루마를 나타내고 UV는 크로마를 펼쳐논 상태에서 그은 가상 축이다.


저 새자리 숫자는 별다른 표기나 언급이 없는 한 YUV 컬러 스페이스를 가르킨다.


422라는 숫자가 등장 했다면 4는 Y에 U,V 각각에 2라는 숫자가 할당 되어 있는 것이다.

숫자 자체는 대역폭을 뜻 하는 것으로 4가 풀 대역폭을 말하는 것이고

2라면 절반의 대역폭을 말하는 것이다.

논 압축 상태와 비교이기 때문에 대역폭은 곧 해상도라는 말과 거의 같은 뜻이 된다.


정리하자면 

422라는 표기는 해당 동영상(이미지)을 YUV 컬러 스페이스에서 루마 값은 풀해상도로 표시하게 되고

크로마 값은 각 채널당 세로는 그대로인데 가로방향으로 절반 해상도로 표시된다는 뜻이다.


세로로는 1440dpi인데 가로로는 720dpi인 잉크젯 프린터를 생각해보면 된다.


이해하기 괴로운데..

그림을 보자.


RGB444.png

<RGB 4:4:4 이미지를 각 채널별로 4x4 도트로 표현한 그림>


먼저 4x4픽셀로 이루어진 RGB 444 이미지를  놓고 보자.

아무런 이미지 압축손실 없이 풀 해상도로 이미지를 다루는 것이고

우리가 흔히 포토샵에서 작업하거나

3D 렌더링을 할 때 이런 이미지를 사용한다.


YUV444.png

<YUV 4:4:4 이미지를 각 채널별로 4x4 도트로 표현한 그림>


YUV 444 라면?   컬러 스페이스를 YUV로 옮기고..

루마값이 Y를 풀 해상도로 나머지 UV도 풀 해상도로 이미지를 다룬다.


YUV422.png

<YUV 4:2:2 이미지를 각 채널별로 4x4 도트로 표현한 그림>


YUV 422를 살펴보자.

루마는 풀 해상도로 크로마는 세로는 풀해상도 가로는 절반 해상도로 다룬다.

실제 신호는 시리얼로 나가게 되는데

(YuYvYuYv)(YuYvYuYv)(YuYvYuYv)……

이런식으로 Y신호가 4번 있을 동안 각각 U와 V는 2번씩 있게 된다.


YUV 채널당 10비트에 422 신호가 우리가 사용하는 방송신호이고

파이널 컷프로 같은 컷편집툴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규격이다.


YUV420.png

<YUV 4:2:0 이미지를 각채널별로 4x4 도트로 표현한 그림>


YUV 420 으로 저장하는 매체도 있는데

이것은 4번 Y신호가 등장할 때 U신호만 2번만 등장한다는 의미인데..

다음번 Y신호가 4번 등장할 때 V 신호만 2번 등장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루마는 풀해상도 크로마는 2x2로 처리한다는 뜻이다.

다시말해서 크로마는 가로세로 전부 절반씩 해상도로 다룬다.

픽셀수로는 해상도가 4배 차이가 나게된다.


YUV411.png

<YUV 4:1:1 이미지를 각채널별로 4x4 도트로 표현한 그림>


HD 시대가 된 이후로 지금은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411도 굉장히 많이 등장하는 서브샘플링 이었다.

역시 루마는 풀 해상도로 크로마는 가로는 4분의1 해상도로 다룬다.


YUV311.png

<YUV 311 이미지를 각채널별로 4x4 도트로 표현한 그림. 

루마 채널이 사이즈는 그대로지만 도트수가 가로 1개 줄었다>


YUV 311로 저장하는 메이저 포맷도 있는데

원래 1920x1080이 풀해상도인데..

루마를 1440x1080으로 처리해 저장하고

크로마는 가로 4픽셀을 1픽셀로 처리하게된다.


자 이제 422라는 숫자가 어떤 의미인지 대충 알았을텐데…

실제 이미지 퀄리티는 어떻게 될까?



Girl_SUB_a.png


<베르메르의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 이미지를 사용해서 서브샘플링 적용을 해 본 그림>


차이를 느낄 수 있는가?

크로마가 아주 선명한 이미지에서도 그 차이는 거의 느끼지못하는 수준이다.



SubSampleZoom.png


<위와 같은 이미지를 400% 확대한 이미지>



400%로 확대한 이미지를 살펴보자.

두건과 얼굴 피부 경계선, 입술 왼쪽 끝 부분에 주목해보자.

100%에선 거의 느끼지 못하지만 픽셀이 보이는 수준까지 확대하면 다른 부분을 찾아 낼 수는 있다.


인터레이스 영상은 보고 있는 이미지와 같은 퀄리티는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도 주의하라.

인터레이스는 세로로 2배의 이미지퀄리티 손상이 있다.


이만큼 이미지에서 크로마 부분보다 루마 부분이 중요하고

실제 JPEG이나 MPEG 같은 포맷도 크로마 서브 샘플링을 발전시켜서 압축을 행한다.


촬영 포맷이나 내가 사용하는 포맷이 어떤 크로마샘플링을 하는지 알 필요가 있는데..

캠코더를 구입하거나 이용할 때는 어떤 서브샘플링 이미지로 저장되는지 확인해야한다.

정리해보자..


444 : RGB 시스템에서는 거의 444를 사용하기 떄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스틸 포맷, 이미지 시퀀스는 444로 저장된다.

444로 영화를 촬영하는 캠코더들도 444로 저장하는 것들이 있으니 그런 카메라를 사용한다면 카메라 스펙과 저장 옵션을 체크해보라.

소니의 HDCAM SR이 최근에 444포맷을 포함시켰다.  YUV 444는 그리 흔하지 않고 주로 RGB 444가 주로 이용된다.


422 : 몇번 언급했는데 방송용 데이터가 여기에 해당된다.  수준이상의 방송용 캠코더들이 422로 저장하는 포맷을 사용하고 요즘 나오는 메모리 기반 캠코더들도 점점 422를 사용하는 추세다.  디지베타, D-1, D-5, DVCPRO HD, DVCPRO 50, HDCAM SR  등이 422로 저장한다.


311 : 한가지 밖에 없는데..  오래된 소니의 HD 포맷인 HDCAM이다.


411 : NTSC DV, NTSC DVCAM, NTSC DVCPRO가 여기에 해당된다.


420 : PAL DV, PAL DVCAM, DVD, HDV 가 여기에 해당된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11.06.09 15:29
    4:4:4:4 라는 표현도 심심치 않게 나오는데...
    4:4:4 서브샘플링에 알파채널이 포함된 것이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11.06.09 15:34
    이런 글은 글 자체는 쓰기 쉬운데...
    챠트나 도표나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괴롭다.
    YUV 모드는 포토샵에 없기도 하고 서브샘플링을 제대로 적용하는 것은 어렵진 않지만 손이 좀 많이 가는 작업이기도 하고...

    YUV 도트 챠트에서 주의해야할 것은 UV 채널이 저렇게 보이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UV 컬러 피커에서 색을 고르고 각 도트간의 컬러 블렌딩도 UV로 되어야하지만 
    우리가 가진 포토샵은 그런 프로세싱을 하지 못한다.
    보기 쉽게 하려고 임의로 비슷한 컬러를 선택한 것 뿐이다.

    3:1:1 이미지도 만들어서 제시하고 싶었지만 불가능해서 하지 못했다는 점 이해주길 바란다.

    오랫동안 쓰겠다고 마음먹고 쓰지 못한 글인데..
    정말 속이 시원하다.
    위키페디아의 같은 항목에서도...
    "아, 왜 이따위로 설명해놨지..."
    이랬는데 글쓴이의 심정을 알 것 같다.   ^^;;;

    이글에 대한 질문은 댓글로..  ^^;;;

  • profile
    머리긴혀기 2011.06.09 15:38
    CG 작업에서 크로마 서브샘플링은 마스킹 작업에 영향을 준다.

    블루 스크린이나 그린 스크린으로 촬영했는데
    굉장히 거칠게 크로마키 작업이 되어 버리는 경우를 자주 발견하게 되는데...

    촬영하는 카메라가 보통 411이나 420으로 촬영되었고 그것도 심하게 압축을 했다면...
    좋은 결과를 보기 어렵다.

    크로마키 작업을 해야한다면
    촬영 포맷이나 캠코더의 스펙을 미리 챙겨서 444가 바람직하지만 여건상 힘들다면 
    최소한 4:2:2 이미지로 작업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특히나 인터레이스 이미지는 필히 피해야한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11.06.09 15:45
    YUV 시스템이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Y Pb Pr로 불리고 표기되고
    디지털 시스템에서는 Y Cb Cr로 표기되고 불린다.
    전부 YUV 컬러 시스템의 형제들이고 비슷한 것인데
    같은 것은 아니다.
    RGB로 전환할 때 팩터 값에서 차이가 난다.
    이점을 주의해야하고
    공식을 알고 싶다면 위키페디아에서 해당 항목을 찾아보면 된다.   ^^
  • profile
    길동 2011.06.10 17:51
    정말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거시기 2011.06.14 21:5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자료 찾기 어려운데..ㅋㅋ
  • ?
    쌩기 2011.06.21 08:08
    여기 게시판은 처음와봤네요 ㄷㄷ 일케 고급정보들이 있다뉘 감사해요 ㅎ
  • ?
    고은하늘 2011.07.04 00:40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profile
    머리긴혀기 2011.11.04 14:42
    제 경험상 이미지 퀄리티는..
    양은 같지만...

    420이 411보다 좋습니다.
  • profile
    묵구 2012.01.05 10:58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달인 2012.01.09 10:57

    감사드립니다.

    죄송하지만 기술용어 중에 IRE라는 것도 좀 설명좀 해주세요

    IRE라는 설명이 너무 간단하게 설명되어 이해하기 어려워서

  • profile
    머리긴혀기 2012.01.09 14:33
    영상 작업자가 알아야할 항목은 아닌 것 같네요.
    전자공학 전공자나 방송 설비 전문가에게 문의하세용.   ^^;;;
  • profile
    와니 2012.12.06 08:59

    아날로그 모니터에서 화이트 앤 블랙의 기준점을 정하는 세팅입니다. 촬영하시는 디지털 캠코더나 파컷에서 웨이브폼 모니터를 보면 촬영하는 혹은 찍은 영상의 최고 밝은 부분과 어두운부분(당근 중간부분도..)의 웨이브 폼을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일본이나 유럽은 0 IRE를 블랙으로 기준으로사용하고 미국을 포함 그 외에 국가에서는 7.5 IRE를 블랙으로 기준하여 사용하는데 그 기준점을 맞추는 세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http://www.glennchan.info/articles/technical/setup/75IREsetup.html

    http://www.hometheaterforum.com/t/115480/black-level-7-5-ire-0-ire

    http://forum.videohelp.com/threads/201765-IRE-settings

  • ?
    나르디 2013.02.16 12:07

    컬러 그래이딩을 하지 않는다면~~


    그냥 지브라 패턴에서 줄가는 것을 조심해라~~가 정답?^^;;;

  • ?
    땡굴 2012.11.20 11:35

    후아~~~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정말로 갈망하고 목말라했던 부분인데 이렇게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찾은것 처럼 시원하게 해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 profile
    맥심 2013.01.08 12:40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
    나르디 2013.02.16 11:59

    완전 좋은 내용이네요. 이렇게 정리 하기 쉽지 않은데. 기반 지식의 위대함을 여실히 볼 수 있는 게시물과 댓글입니다.^^


    찬앙합니다~^^ㅋㅋ